반응형

[원문]  하야      니라

 

[독음] 자왈비여위산에 미성일궤하야 지도 오지야며 비여평지에 수복일궤나 진도 오왕야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비유컨대 산을 만듦에 아직 한 삼태기를 이루지 않아서 그치더라도 내가 그치며 비유컨대 평지에 비록 한 삼태기를 덮더라도(붓더라도) 나아가는 것도 내가 간다."

 

*는 아래 주(註)에 의하면 '흙을 담는 바구니'를 의미한다. 국내에서는 '삼태기'라는 표현을 쓴다.

cf)삼태기 : 1. 흙이나 쓰레기, 거름 따위를 담아 나르는  쓰는 기구. 가는 싸리나 대오리, , , 새끼 따위로 만드는데 앞은 벌어지고 뒤는 우긋하며 좌우 양편은 울이 지게 엮어서 만든다2((수량을 나타내는  뒤에 쓰여)) 흙이나 쓰레기, 거름 따위를 ‘「1」’ 담아  분량을 세는 단위 (네이버국어사전)

 

[註] 簣 土籠也 書曰爲山九仞 功虧一簣라하니 夫子之言 蓋出於此 言山成而但少一簣하야 其止者 吾自止耳며 平地而方覆一簣 其進者 吾自往耳라하니 蓋學者自强不息則積少成多하고 中道而止則前功盡棄 其止其往 皆在我而不在人也라

 

[독음] 궤는 토롱야라 서왈위산구인에 공휴일궤라하니 부자지언이 개출어차라 언산성이단소일궤하야 기지자도 오자지이며 쳥지이방복일궤나 기진자도 오자왕이라하니 개학자자강불식즉적소성다하고 중도이지즉전공진기니 기지기왕이 개재아이부재인야라

 

[註解] 궤(簣)는 흙 바구니이다. 서경에 이르길 "산 아홉 길을 만듦에 공로가 흙 한 바구니(삼태기)로 이지러진다" 하니 공자의 말이 아마도 여기에서 나왔다. 산을 이루는데 한 삼태기가 적어서 그것을 그치는 것도 내가 스스로 그칠 뿐이며 평지인데 사방에 한 삼태기를 뿌리나 그것을 그치는 것도 내가 스스로 그칠뿐이라고 말하였으니 아마도 배우는 자들이 스스로 힘써 쉬지 않으면 적은 것을 쌓아 많은 것을 이루고 중도에 그치면 앞의 공로가 모두 버려지니 그 그치고 감이 모두 나에게 달린 것이지 남에게 달린 것이 아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