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로라 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내가 숨기는게 있다고 여기는가? 나는 너희에게 숨기는 것이 없다. 내가 행하면서도 너희들에게 보여주지 않음이 없는 사람이 바로 구(丘)이다. 

 

*二三子는 두 세 사람 혹은 여러 사람을 지칭하는 대명사인데, 여기서는 제자들을 지칭한다.

*乎는 "~에게"의 뜻이다.

*丘는 공자 자신을 말한다. (공자의 이름이 孔丘이다.)

 

[註] 하야 이라 하니 人의   言으로 之호  

 

[註解] 여러 제자들이 공자의 도를 높고 깊어서 거의 미칠 수 없다고 여겼다. 그러므로 그들이 숨기는 것이 있다고 의심하였으니 성인의 행하고 그침과 말씀하고 묵묵하심이 가르침이 아님이 없음을 알지 못했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이 말로써 그들을 깨우친 것이다. 與는 보여주다와 같다.

 

*以A故B는 A로 B를 설명하는 구조로 일종의 범주화 역할을 한다.

*不知는 敎也까지 걸린다.

*作은 여러 뜻이 있는데 뒤의 '그칠 지'와 대비되는 행하다의 뜻으로 해석하였다.

 

[註] 하야   使  하니 使 이라 者도   하야 하야  이라

 

[註解] ○정자가 말씀하셨다. 성인의 도는 천연하여서 문하의 제자들이 가까이 배워서 미치기를 바란 뒤에 그 높고 또 먼 것을 알 수 있게 하였다. 그들로 하여금 진실로 써 미칠 수 없다고 여긴다면 (도를) 향해 달려가는 마음이 태만함에 가깝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성인의 가르침이 항상 구부려서(낮춰서) 나아가게 함이 이와 같으니 비단 자질이 용렬하고 낮은 이로 하여금 힘써 생각하여 미치기를 바랄뿐 아니라 재주와 기상이 높고 멀더라도 또한 감히 (단계 혹은 등급을) 건너뛰고 쉽게 나아가지 못하게 한 것이다. 여씨가 말했다. 성인은 도를 체득함에 숨김이 없어서 천상(天象)과 같이 밝아서 지극한 가르침이 아님이 없다. 항상 남에게 보여주나 사람들이 스스로 보지 못하는 것이다.

 

*천연(天然) : 사람의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 사람의 힘으로는 어떻게도 할 수 없는 상태().

*친자(炙) : 스승에게서 친히 배우는 것. 즉 스승 가까이서 친히 감화를 받음.

*以爲 : ~로써 ~를 삼다, 여기다

*非獨 : 비단 ~일 뿐만 아니다.

*易은 여기서 '쉬울 이'로 본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