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이리오 厭하  니라 西로소이다

 

[독음] 자왈약성여인은 즉오기감이리오 억위지불염하며 회인불권은 즉가위운이이의니라 공서화왈정유제자불능학야로소이다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성(聖)과 인(仁) 같은 것은 내 어찌 감히 하겠는가? 그러나 그것을 행하기를 싫어하지 않으며 남을 가르치기를 게을리하지 않음은 가히 이를 수 있을 뿐이다." 공서화가 말했다. "바로 이것이 제자들이 본받을 수 없는 것입니다."

 

*는 '~와 더불어'의 뜻인데 언해를 보면 조선시대에는 '다믓'이라고 해석한 듯하다. 다믓은 요즘말로 '및' 정도의 의미로 보인다. 

 

[註] 此는           이니 

 

[독음] 차는 역부자지겸사야라 성자는 대이화지요 인은 즉심적지전이인도지비야라 위지는 위위인성지도요 회인은 역위이차교인야라 연불염불권은 비기유지즉불능이니 소이제자불능학야라

 

[註解] 이는 또한 공자의 겸양하는 말이다. 성이라는 것은 대인으로서  변화한 것이요. 인은 마음의 덕이 온전하여 인도가 갖추어진 것이다. 위지(爲之)는 인과 성의 도를 행함을 이르고, 회인(誨人)은 또한 이로써 남을 가르침을 이른다. 그러나 싫어하지 않고 게으르지 않음은 자기가 소유하지 않으면 능할 수 없으니 이 때문에 제자들이 능히 배울 수 없는 것이다.

 

[註]  ○   하며 하야 使仁으로  이나 으로    西하니 矣라

 

[독음] ○조씨왈당시에 유칭부자성차인자라 이고부자사지니 구사지이이언즉무이진천하지재하며 솔천하지선하야 장사성여인으로 위허기이인종막능지의라 고부자수불거인성이나 이필이위지불염회인불권으로 자처야라 가위운이이의자는 무타지사야라 공서화억이탄지하니 기역심지부자지의의라

 

[註解] ○조씨가 말했다.당시에 공자를 성스럽고 또 인하다고 칭함이 있었다. 이 때문에 공자께서 사양한 것이니 만일 사양할 뿐이라면 천하의 재목을 나아가게 하며 천하의 선을 이끔이 없어서 장차 성과 인으로 하여금 빈그릇이 되게하여 사람들이 마침내 이르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비록 인과 성에 거한다고 하지 않았으나 반드시 그것을 함에 싫어하지 않고 남을 가르침에 게으르지 않다는 것으로써 스스로 자처한 것이다. 矣이라는 것은 다른 것이 없다는 말이다. 공서화가 그럼에도 탄식하였으니 그 또한 공자의 뜻을 깊이 안 것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