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奢則不孫하고 儉則固니 與其不孫也론 寧固니라
[독음] 자왈사즉불손하고 검즉고니 여기불손야론 녕고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치하면 공손하지 않고 검소하면 고루하니 공손하지 않은것 보다는 차라리 고루한 것이 낫다.
*與其 A 寧 B : A 보다는 차라리 B가 낫다. 寧앞에 대체로 '론'토가 붙는다.
[註] 孫은 順也요 固는 陋也라 奢儉은 俱失中而奢之害大라 ○ 晁氏曰不得已而救時之弊也라
[독음] 손은 순야요 고는 루야라 사검은 구실중이사지해대라 ○조씨왈부득이이구시지폐야라
[註解] 손은 따르는 것이요 고는 고루함이라 사치와 검소는 모두 중을 잃었으나 사치의 해가 크다. ○조씨가 말했다. 부득이하게 당시의 폐단을 바로 잡은 것이다.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37장(完) (0) | 2022.06.01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36장 (0) | 2022.05.3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34장 (0) | 2022.05.30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33장 (0) | 2022.05.29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32장 (0) | 2022.05.25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