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或이 謂孔子曰는 奚不爲政이시니잇고

*여기서 子는 아들, 선생님의 뜻보다는 그대, 자네 등의 인칭대명사로 보인다. 그러나 성리학적 관점에 따라 선생님으로 해석해도 무방하다.

[해석] 혹자가 공자께 일러 말했다. 그대는(선생님은) 어찌 정사를 하지 않으십니까?

 

[註] 定公初年에 孔子不仕라 故或人이 疑其不爲政也라

 

[註解] 정공 초년에 공자께서 벼슬하지 않으셨다. 그러므로 어떤 사람이 그 정사하지 않음을 의심한 것이다.

 

[원문] 子曰書云孝乎인저 惟孝하며 友于兄弟하야 施於有政이라하니 是亦爲政이니 奚其爲爲政이리오

*cf)청대의 고증학자들은 書云에서 끊었다고 한다. ex) 서경에 이르기를 효라는 것은... 반면에 주자에 의하면 서경에서 효를 이르니... 등으로 해석한다.

*여기서 有는 운율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해석하지 않는다.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서경에 효라고 이르는 것은 오직 효도하며 형제간에 우애가 있어서 정사를 베푼다 하니 이것 또한 정사를 하는 것이니 어찌 그것만이 정사함이 되겠는가?

[註] 書는 周書君陳篇이라 書云孝乎者는 言書之言孝如此也라 善兄弟曰友라 書言君陳이 能孝於親하고 友於兄弟하며 又能推廣此心하야 以爲一家之政이라하니 孔子引之言如此則是亦爲政矣니 何必居位라야 乃爲爲政乎 蓋孔子之不仕를 有難以語或人者라 故託此以告之하니 要之至理는 亦不外是라

*학민문화사 원문에는 현토가 ‘는’으로 되어있으나 해석함에 있어 맥락상 ‘아’가 더 옳은 듯하다.

 

[註解] 書는 서경 周書 君陳편이다. 書云孝乎라는 것은 서경의 효를 말함이 이와 같음을 말한 것이다. 형제끼리 잘 하는 것을 友라고 한다. 서경에서 군진이 어버이에게 효도를 잘 하고 형제간에 우애가 좋으며, 또 이 마음을 미루어 넓혀서 이것으로써 한 집안의 정사를 하였다고 말한 것이니 공자께서 이것을 인용하여 말씀하시기를 이와 같이 하니 이것은 또한 정사함이니 어찌 반드시 지위에 거해야 정사함이 되겠는가? 대개 공자께서 벼슬하지 않은 것을 어떤 사람에게 말하기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을 의탁하여 고하셨으니 요컨대 지극한 이치는 또한 여기서 벗어나지 않는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