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子貢曰(자공왈) 有美玉於斯(유미옥어사)하니 韞匵而藏諸(온독이장제)잇가 求善賈(價)而沽諸(구선가(가)이고제)잇가 子曰(자왈) 沽之哉(고지재), 沽之哉(고지재)나 我(아)는 待賈者也(대가자야)로라
[독음] 자공이 왈유미옥어사하니 온독이장저잇가 구선가이고저잇가 자왈고지재고지재나 아는 대가자야로라
[해석] 자공이 말했다. "여기에 아름다운 옥이 있으니 궤 속에 감추어 보관하시겠습니까? 좋은 값을 구하여 파시겠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팔아야지, 팔아야지 허나 나는 (좋은) 값을 기다리겠다"
[註] 韞은 藏也요 匵은 匱也라 沽는 賣也라 子貢이 以孔子有道不仕라 故設此二端以問也라 孔子言固當賣之나 但當待賈而不當求之耳라
[독음] 온은 장야요 독은 궤야라 고는 매야라 자공이 이공자유도불사라 고설차이단이문야라 공자언고당매지나 단당대가이부당구지이라
[註解] 온(韞)은 감추는 것이고 독(匵)은 궤이다. 고(沽)는 파는 것이다. 자공이 공자가 도를 가지고도 벼슬하지 않는다 여겼으므로 이 두 단서를 설정하여 써 물은 것이다. 공자가 진실로 마땅히 팔아야하나 다만 마땅한 값을 기다려야하고 마땅히 구해서는 안된다고 말한것이다.
[註] ○范氏曰君子未嘗不欲仕也요 又惡不由其道니 士之待禮猶玉之待賈也라 若伊尹之耕於野와 伯夷太公之居於海濱에 世無成湯文王則終焉而已니 必不枉道以從人하고 衒玉而求售也라
[독음] ○범씨왈군자미상불욕사야요 우오불유기도니 사지대례유옥지대가야라 약이윤지경어야와 백이태공지거어해빈에 세무성탕문왕즉종언이이니 필불왕도이종인하고 현옥이구수야라
[註解] ○범씨가 말했다. "군자가 일찍이 벼슬을 하고자 하지 않음이 아니요 또 그 방도에 말미암음을 싫어하니 벼슬의 예를 기다림과 옥의 값을 기다림이 같다. 만약 이윤의 들에서 밭 가는 것과 백이와 태공의 바닷가에서 거함에 세상에 탕왕과 문왕이 없었다면 (일생을) 마칠 뿐이니 반드시 도를 굽혀 남을 따르고 옥을 자랑하여 팔리기를 구하지 않을 것이다."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14장 (0) | 2022.11.16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13장 (0) | 2022.11.15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11장 (0) | 2022.11.15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10장 (0) | 2022.11.13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9장 (0) | 2022.11.13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