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中庸은 何爲而作也요 子思子憂道學之失其傳而作也라 蓋自上古聖神이 繼天立極으로 而道統之傳이 有自來矣라 其見於經則允執厥中者는 堯之所以授舜也요 人心惟危道心惟微,惟精惟一允執厥中者는 舜之所以授禹也니 堯之一言이 至矣盡矣어늘 而舜이 復益之以三言者는 則所以明夫堯之一言을 必如是而後可庶幾也라 蓋嘗論之컨대 心之虛靈知覺은 一而已矣라 而以爲有人心道心之異者는 則以其或生於形氣之私하고 或原於性命之正하니 而所以爲知覺者不同이라 是以로 或危殆而不安하고 或微妙而難見耳라 然人莫不有是形이라 故雖上智나 不能無人心하고 亦莫不有是性이라 故雖下愚나 不能無道心하니 二者雜於方寸之間하야 而不知所以治之면 則危者愈危하고 微者愈微하야 而天理之公이 卒無以勝夫人欲之私矣리라 精은 則察夫二者之間而不雜也요 一은 則守其本心之正而不離也라 從事於斯하야 無少間斷하야 必使道心常爲一身之主하고 而人心每聽命焉이면 則危者安하고 微者著하야 而動靜云爲自無過不及之差矣리라
[해석] 중용은 무엇을 위하여 지어졌는가. 자사께서 도학의 그 전함을 잃을까 근심하여 지으신 것이다. 대개 상고에 성인과 신들이 하늘의 뜻을 이어 도통의 전함이 저절로 내려오게 되었다. 그 경서에 드러난 것은 "진실로 그 중을 잡으라"는 것은 요임금이 순임금에게 준 바이고 인심이 오직 위태롭고 도심이 오직 은미하고 오직 정밀하고 오직 한결같아서 진실로 그 중을 잡으라는 것은 순임금이 우임금에게 준 것이니 요임금의 한마디 말이 지극하고 (뜻을) 다하였거늘 순임금이 다시 더하여 세가지로써 말한 것은 요임금의 한마디 말을 반드시 이와 같이 한 이후에 가히 가까이 할 수 있음을 밝힌 것이다. 대개 일찍이 그것(人心道心)을 논하건대 마음의 체와 용은 하나일 따름이다. (마음으로써) 인심과 도심의 다름이 있다고 여기는 것은 그 혹 형기의 사사로움에서 생겨나고 혹 성명의 바름에서 근원하니 지각으로 삼은 것이 같지 않은 까닭이다. 이 때문에 혹은 위태로워서 편하지 않고 혹은 은미하고 미묘하여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사람은 이 형체를 가지지 않은 이가 없다. 그러므로 비록 높은 지혜를 가졌으나 인심이 없을 수 없고 또한 이 본성이 있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비록 아래의 어리석은 자이나 능히 도심이 없을 수 없으니 두 가지는 마음의 사이에 섞여서 써 다스려야 할 바를 알지 못하면 위태로운 것은 더욱 위태롭고 은미한 것은 더욱 은미하여 천리의 공변됨이 끝내 인욕의 사사로움을 이길 수 없을 것이다. 精은 두 가지의 사이를 살펴 섞이지 않음이요 一은 그 본심의 바름을 지켜서 떨어지지 않음이다. 이에 종사하여 조금이라도 중단이 없어서 반드시 도심으로 하여금 항상 일신의 주인이 되게 하고 인심이 매양 명을 듣게 하면 위태로운 것은 편안해지고 은미한 것은 드러나서 동정의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저절로 과하고 미치지 못함의 잘못이 없게 된다.
*庶幾 : ~에 가깝다. 거의 ~할 수 있다.
*虛靈知覺 : 허령은 텅 비어있으면서 신령하게 움직일 수 있는 마음이 체(體)를 뜻하고, 지각은 알고 깨달을 수 있는 마음의 용(用)에 해당한다.
*以爲은 以A爲B의 형식에서 A가 생략된 것이다. 여기서 A는 心을 의미한다.
*形氣之私 : 형은 형체로서 몸을 뜻하고 기는 기질로서 사람의 취향을 나타내는 지각작용을 뜻한다. 따라서 형기지사는 사람의 이목구비를 통해 나타나는 사사로운 욕망을 가리킨다.
*性命之正 : 성명은 천명지성(天命之性) 즉 타고난 본성을 뜻하는 것으로 성명지정(性命之正)은 인의예지를 가리킨다.
*方寸之間 : 마음을 가리킨다. 사람의 마음은 가슴 속 사방 한치의 얿이 밖에 안되는 사이에 있기 때문이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