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陳하 인저 簡하 이요 로다

 

[해석] 공자께서 진나라에 계실때 말씀하셨다. 돌아가야겠다. 돌아가야겠다. 우리 고을의 小子들이 뜻만 크고 말만 크게하면서 일에는 소략하여서 찬란하게 문장을 이루고 사람의 몸에 맞게 마름질하는 까닭을 알지 못하는구나

 

*吾黨은 아래 주에 따르면 "노나라에 있는 문인들"을 가리키나 고대 중국의 행정구역인 향당주려(閭)의 당으로 보아 우리 고을, 같은 무리, 제자, 동지 등의 뜻도 된다. 두 가지 모두 가능한 해석인 듯하다.

 

[註]  호대         하야       하야  하야 호니 士는 하야   

 

[註解] 이것은 공자께서 사방을 주유하셨으되 도가 행해지지 않아서 돌아갈 것을 생각하는 탄식이다. 子는 노나라에 있는 문인들을 가리킨다. 簡은 뜻이 크지만 일에는 소략한 것이다. 斐은 문장의 모양이고 章은 문리가 성취되어서 가히 볼만한게 있음을 말한다. 裁는 베어서 바르게 하는 것이다. 공자께서 초심에 천하에 도를 행하고자 하였으나 지금에 이르러 끝내 쓰이지 못함을 알았다. 이에 비로소 후학을 성취해서 다음 세대에 도를 전하고자 하였고 또 중도를 행하는 선비를 얻지 못하여 그 다음을 생각한 것이니 士는 뜻과 생각이 높고 멀어서 혹 더불어 도에 나아갈 수 있다고 여긴것이다. 다만 그 중도를 넘고 바른 것을 잃어 혹 이단에 빠질까 두려워 하였다. 그러므로 돌아가서 마름질하고자 하신 것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