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仁遠乎哉아 我欲仁이면 斯仁이 至矣니라
[독음] 자왈인원호재아 아욕인이면 사인이 지의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仁이 멀리 있는가?" 내가 인하고자 하면 이에 인이 이르는 것이다.
[註] 仁者는 心之德이니 非在外也로대 放而不求故로 有以爲遠者나 反而求之則卽此而在矣니 夫豈遠哉아
[독음] 인자는 심지덕이니 비재외야로대 방이불구고로 유이위원자나 반이구지즉즉차이재의니 부기원재아
[해석] 仁이라는 것은 마음의 덕이니 밖에 있는 것이 아니지만 방치하고 구하지 않으므로 써 멀다고 여기는 사람이 있으나 도리어 그것을 구하면 곧 여기에 있으니 어찌 멀리 있겠는가?
[註] ○ 程子曰爲仁由己니 欲之則至何遠之有리오
[독음] 정자왈위인유기니 욕지즉지하원지유리오
[註解] ○정자가 말씀하셨다. 仁을 함이 자신에게 달려있으니 그것을 하고자 하면 이르니 어찌 멀리 있겠는가?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31장 (0) | 2022.05.24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30장 (0) | 2022.05.23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28장 (0) | 2022.05.2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27장 (0) | 2022.05.20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26장 (0) | 2022.05.18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