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互鄕은 難與言이러니 童子見커늘 門人이 惑한대
[독음] 호향은 난여언이러니 동자현커늘 문인이 혹한대
[해석] 호향 사람은 더불어 말하기 어려우니 동자가 찾아뵙거늘 문인들이 당혹하는데
[註] 互鄕은 鄕名이니 其人이 習於不善하야 難與言善이라 惑者는 疑夫子不當見之也라
[독음] 호향은 향명이니 기인이 습어불선하야 난여언선이라 혹자는 의부자부당견지야라
[註解] 호향은 지방의 이름이니 그 사람들이 선하지 않은 것을 익혀서 더불어 선을 말하기 어려웠다. 혹이라는 것은 공자가 그를 보기가 마땅하지 않다고 의심한 것이다.
[원문] 子曰與其進也요 不與其退也니 唯何甚이리오 人이 潔己以進이어든 與其潔也요 不保其往也하며
[독음] 자왈여기진야요 불여기퇴야니 유하심이리오 인이 결기이진이어든 여기결야요 불보기왕야하며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나아감을 허여하고 그 물러남을 허여하지 않으니 어찌 심하겠는가? 사람들이 몸을 깨끗이 하여 써 나아가거든 그 깨끗함을 허여하고 그 가는 것을 보호하지 않는다."
[註] 疑此章有錯簡이라 人潔至往也十四字는 當在與其進也之前이라 潔은 修治也라 與는 許也라 往은 前日也라 言人潔己而來면 但許其能自潔耳요 固不能保其前日의 所爲之善惡也하며 但許其進而來見耳요 非許其旣退而爲不善也라 蓋不追其旣往하며 不逆其將來하니 以是心至어든 斯受之耳라 唯字上下에 疑又有闕文하니 大抵亦不爲已甚之意라
[독음] 의차장유착간이라 인결지왕야십사자는 당재여기진야지전이라 결은 수치야라 여는 허야라 왕은 전일야라 언인결기이래면 단허기능자결이요 고불능보기전일의 소위지선악야하며 단허기진이래견이요 비허기기퇴이위불선야라 개선추기기왕하며 불역기장래하니 이시심지어든 사수지이라 유자상하에 의우유궐문하니 대저역불위이심지의라
[註解] 이 장은 착간이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 人潔부터 往也까지 열 네 글자는 마땅히 與其進也의 앞에 있어야 한다. 결은 다스려 닦음이다. 여는 허여함이다. 왕은 지난 날이다. 사람이 몸을 깨끗이 하고 오면 다만 그 능히 스스로 깨끗함을 허여할 뿐이요 진실로 그 지나날의 선하고 악한 바를 보장할 수는 없으며 다만 그 나아가서 찾아와 뵙는 것을 허여할 뿐이요 그 이미 물러나서 불선을 함을 허여한 것은 아니다. 그 이미 지난 것을 미루지 않으며 그 장차 올 것을 연역하지 않으니 이 마음을 가지고 이르거든 이에 그것을 받을 뿐이다. 唯자 위 아래에 또 궐문이 있다고 의심되니 대체로 또한 그친 것을 심하게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錯簡 : 책장(冊張)이나 편(篇), 장(章) 따위의 차례가 잘못됨. 또는 그런 책장이나 편, 장.
*闕文 : 문장 가운데 빠진 글자나 글귀. 또는 글자나 글귀가 빠진 문장.
[註] ○程子曰聖人이 待物之洪이 如此라
[독음] 정자왈성인이 대물지홍이 여차라
[해석] ○정자가 말씀하셨다. 성인이 남을 대하여 넓은 것이 이와 같다.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30장 (0) | 2022.05.23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29장 (0) | 2022.05.22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27장 (0) | 2022.05.20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26장 (0) | 2022.05.18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25장 (0) | 2022.05.18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