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哀公이 問曰何爲則民服이니잇고 孔子對曰奉直錯諸枉則民服하고 奉枉錯諸直則民不服니이다

[해석] 애공이 물었다. 어찌하면 백성이 복종합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정직한 자를 들고 굽은 자를 모두 버리면 백성이 복종하고 굽은 자를 들고 정직한 자를 모두 버리면 백성이 복종하지 않습니다.

 

[註] 哀公은 魯君이니 名蔣이라 凡君問에 皆稱孔子對曰者는 尊君也라 錯은 捨置也라 諸는 衆也라 程子曰擧錯得義則人心服이라

*心服은 心悅誠服의 준말로 마음이 기쁘면 진실로 복종한다는 뜻이다.

 

[註解] 애공은 노나라 임금이니 이름은 장이다. 무릇 임금의 질문에 모두 孔子對曰이라고 한 것은 임금을 높인 것이다. 錯은 버려두는 것이다. 諸는 모두이다. 정자께서 말씀하셨다. 등용하고 버리는 것이 마땅함을 얻으면 인심이 복종한다.

[註] ○謝氏曰好直而惡枉은 天下之至情也니 順之則服이요 逆之則去는 必然之理也라 然或無道以照之則以直爲枉하고 以枉爲直者多矣라 是以君子는 大居敬而貴窮理也라

 

[註解] ○사씨가 말했다. 정직한 자를 좋아하고 굽은 자를 싫어하는 것은 천하의 지극히 정밀한 것이니 그것을 좇으면 복종하고 거스르면 떠나는 것은 반드시 그러한 이치이다. 그러나 혹 道로써 비춤이 없으면 정직한 자로써 굽었다 하고 굽은 자로써 정직하다고 하는 사람이 많다. 이 때문에 군자는 居敬을 크게 여기고 窮理를 귀하게 여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