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由아 誨女知之乎인저 知之爲知之요 不知爲不知是知也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由야 너에게 知라는 것을 가르쳐주겠다.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알지 못하는 것을 알지 못한다고 하는 것이 바로 안다는 것이다.

 

[註] 由는 孔子弟子니 姓仲이요 字子路라 子路好勇하니 蓋有其所不知以爲知者라 故夫子告之曰我敎女以知之之道乎인저 但所知者는 則以爲知요 所不知者는 則以爲不知라하니 如此則雖或不能盡知라도 而無自欺之蔽요 亦不害其爲知矣온 況由此而求之면 又有可知之理乎아

*强은 굳세다, 강하다, 세차다 등의 뜻이지만 여기서는 억지로, 우기다, 강요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註解] 由는 공자의 제자니 성은 중이고 자는 자로다. 자로가 용맹을 좋아하니 그 알지 못하는 바를 우겨서 안다고 하는 일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자로에게 고하여 말씀하셨다. “내가 너에게 아는 방법을 가르쳐 주겠다. 다만 아는 것은 안다고 하고 알지 못하는 것은 알지 못한다고 해라”고 하니 이와 같으면 비록 혹 앎을 다하지 못하더라도 스스로를 속이는 폐단이 없고 또한 앎이 됨에 해로움이 없을 것이다. 하물며 이것으로 말미암아서 앎을 구하면 또한 알 수 있는 이치가 있음에랴.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