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子曰道之以政하고 齊之以刑이면 民免而無恥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법령으로써 인도하고 형벌로써 가지런히 하면 백성들은 면하기만 하고 부끄러워함이 없다.
[註] 道는 猶引導니 謂先之也요 政은 謂法制禁令也라 齊는 所以一之也라 道之而不從者를 有刑以一之也라 免而無恥는 謂苟免刑罰而無所羞愧니 蓋雖不敢爲惡이나 而爲惡之心이 未嘗亡也라
*亡은 없을 무(無)로 읽기도 한다.
[註解] 道는 인도한다는 뜻이니 먼저 하는 것(솔선수범)을 이르고 政은 법으로 제정하고 금지하는 명령을 이른다. 齊는 政으로써 일정하게 하는 것이다. 인도하여도 따르지 않는 사람을 형벌로써 일정하게 하는 것이다. 면하기만 하고 부끄러워함이 없는 것은 구차히 형벌을 면하여서 수치스럽고 부끄러운 것이 없으니 비록 감히 악을 하지는 못하나 악을 하는 마음이 일찍이 없지 않은 것이다.
[원문] 道之以德하고 齊之以禮면 有恥且格이니라
[해석] 덕으로써 인도하고 예로써 가지런히 하면 부끄러워함이 있고 또 善에 이른다.
[註] 禮는 謂制度品節也라 格은 至也니 言躬行以率之則民固有所觀感而興起矣요 而淺深厚薄之不一者를 又有禮以一之則民恥於不善하고 而又有以至於善也라 一說에 格은 正也니 書曰格其非心이라다
[註解] 禮는 제도와 품절을 이른다. 格은 이른다는 뜻이니 몸소 행하여 그것을 가지고 인솔하면 백성들이 진실로 보고 감동함이 있어서 흥기할 바가 있을 것이요 그 얕고 깊음 두텁고 엷음이 통일되지 않은 것을 또한 예로써 통일하면 백성이 선하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또 선에 이를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일설에 格은 바르게 한다는 뜻이니 서경에 이르기를 “그 그릇된 마음을 바로잡는다.” 라고 하였다.
*등급마다 절도를 전하는 것.
[註] ○愚謂政者는 爲治之具요 刑者는 輔治之法이라 德禮則所以出治之本이요 而德은 又禮之本也니 此其相爲終始하야 雖不可以偏廢라 然政刑은 能使民遠罪而已요 德禮之效則有以使民日遷善而不自知라 故治民者는 不可徒恃其末이요 又當深探其本也라
[註解] ○내가(주자) 생각건대 政이라는 것은 다스리기 위한 도구이고 刑이라는 것은 다스림을 돕는 법이다. 덕과 예는 정치를 내는 근본이고 덕은 또 예의 근본이니 이것은 그 서로가 끝과 시작이 되어서 비록 어느 한쪽도 폐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政과 刑은 백성들로 하여금 죄를 멀리하게 할 뿐이요 덕과 예의 효용은 백성들로 하여금 날마다 개과천선하면서도 스스로 알지 못하게 한다. 그러므로 백성을 다스리는 사람은 다만 그 말단(政刑)을 믿을 수 없음이요 또 마땅히 그 근본(德禮)을 깊이 탐구하여야 한다.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위정편 5장 (0) | 2021.10.14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위정편 4장 (0) | 2021.10.13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위정편 2장 (0) | 2021.10.13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위정편 1장 (0) | 2021.10.1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학이편 16장 完 (0) | 2021.10.1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