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名이로다

[독음] 달항당인이 왈대재라 공자여 박항이무소성명이로다 

 

[해석] 달항 마을 사람이 말했다. "크도다 공자여 넓게 배웠으나 이름을 이룬 바가 없구나"

 

[註] 達巷 黨名이니 其人姓名 不傳이라 博學而無所成名 蓋美其學之博而惜其不成一藝之名也라

 

[독음] 달항은 당명이니 기인성명은 부전이라 박학이무소성명은 대미기학지박이석기불성일예지명야라

 

[註解] 달항은 마을 이름이니 그 사람의 성명은 전하지 않는다. 널리 배우고도 이름을 이룬바가 없음은 아마도 그 배움의 넓음을 찬미하면서도 그 한 재주로 이름을 이루지 못함을 애석히 여긴 것이다.

 

[원문] 하시고    로리라

 

[독음] 자문지하시고 위문제자왈오하집고 집어호아 집사호아 오집어의로리라

 

[해석] 공자께서 그것을 들으시고 문하의 제자들에게 일러 말했다. "내가 무엇을 잡겠는가? 말 모는 일을 잡겠는가? 활 쏘는 일을 잡겠는가? 나는 말 모는 일을 잡으리라"

 

[註] 執 專執也 射御皆一藝而御爲人僕이니 所執尤卑 言欲使我何所執하야 以成名乎 然則吾將執御矣라하니 聞人譽己하고 承之以謙也라

 

[독음] 집은 전집야라 사어개일예이어위인복이니 소집우비라 언욕사아하소집하야 이성명호아 연즉오장집어의라하니 문인예기하고 승지이겸야라

 

[註解] 집(執)은 오로지(전적으로) 잡는 것이다. 활 쏘는 일과 말 모는 일 모두 한 재주이나 말 모는 일은 남의 마부가 되니 잡는 바가 더욱 비천하다. '나로 하여금 무엇을 잡아서 써 이름을 이루게 하고자 하는가? 그렇다면 나는 장차 말 모는 일을 잡을 것이다.'라고 하니 사람들이 자신을 명예롭게 함을 듣고 그것을 이어 받아서 써 겸양한 것이다.

 

[註] ○尹氏曰聖人이 道全而德備하니 不可以偏長目之也 達巷黨人 見孔子之大하고 意其所學者博이나 而惜其不以一善으로 得名於世 蓋慕聖人而不知者也 故孔子曰欲使我로 何所執而得爲名乎 然則吾將執御矣라

 

[독음] ○윤씨가 말했다. "성인이 도가 온전하고 덕이 완비되었으니 가히 써 편향된 장점을 지목할 수 없다. 달항 마을 사람이 공자의 위대함을 보고 그 배운 바의 뜻이 넓다고 여겼으나 한 가지를 잘함으로써 세상에 이름을 얻지 못함을 애석히 여겼으니 아마도 성인을 흠모하였으나 알지 못한 사람이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나로 하여금 무엇을 잡아서 이름을 내게 하려고 하는가? 그렇다면 나는 장차 말 모는 일을 잡겠다"고 하신 것이다.

 

*專執은 '하나의 일을 전공하다' 정도의 의미로 보면 될 듯하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