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는 罕言利與命與仁이러시다
[독음] 자는 한언리여명인이러시다
[해석] 공자께서는 이익과 운명과 인(仁)을 드물게 말씀하셨다.
[註] 罕은 少也라 程子曰計利則害義요 命之理微하고 仁之道大하니 皆夫子所罕言也라
[독음] 한은 소야라 정자왈계리즉해의요 명지리미하고 인지대도하니 개부자소한언야라
[註解] 한(罕)은 적음(드물다)이다. 정자가 말했다. "이익을 계산하면 의리를 해치고 운명의 이치가 은미하고 인(仁)의 도가 크니 모두 공자께서 드물게 말한 바이다.
*자한편 1장에 대한 견해를 보고 싶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조.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3장 (1) | 2022.10.29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2장 (0) | 2022.10.29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태백편 21장 完 (0) | 2022.10.29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태백편 20장 (2) | 2022.10.29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태백편 19장 (2) | 2022.10.28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