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하니라

 

[독음] 순이 유신오인이천하치하니라

 

[해석] 순임금이 신하 다섯 사람을 두고서 천하를 다스렸다.

 

[註] 五人 禹稷皐陶伯益이라

 

[독음] 오인은 우직설고요백익이라

 

[註解] 다섯 사람은 우, 후직, 설, 고요, 백익이다.

 

*은 여러 음이 있는데 소주(小註)에 私列反으로 되어 있으므로 '설'로 읽는다.

 

[원문] 王이 호라

 

[독음] 무왕이 왈여유난신십인호라

 

[해석] 무왕이 말했다. "나는 다스리는 신하 열 사람을 두었다."

 

[註] 書泰誓之辭라 馬氏曰亂 治也 十人 謂周公旦召公奭太公望畢公榮公太顚閎夭散宜生南宮适이니 其一人 文母라 劉侍讀이 以爲子無臣母之義라하니 蓋邑姜也라 九人 治外하고 邑姜 治內라 或曰亂 本作乿 古治字也라

[독음] 서태서지사라 마씨왈난은 치야라 십인은 위주공단소공석태공망필공영공태전굉요산의생남궁괄이니 기일인은 위문모라 류시독이 이위자모신모지의라하니 개읍강야라 구인은 치외하고 읍강은 치내라 혹왈난은 본작치니 고치자야라

[註解] 책 태서(泰誓)의 말이다. 마씨가 말했다. "난(亂)은 다스림이다. 열 사람은 주공단, 소공석, 태공망, 필공, 영공, 태전, 굉요, 산의생, 남궁괄을 이르니 그 한 사람은 문왕의 아내이다." 류시독이 "써 자식으로 어머니를 신하로 삼는 의리가 없다"고 하니 아마도 읍강(邑姜, 무왕의 비)일 것이다. 아홉 사람은 밖에서 다스리고 읍강은 안에서 다스렸다. 혹자가 말했다. "난(亂)은 본래 치(乿)로 되어 있으니 옛 치(治)자 이다.

*泰誓 : 『시경』 「周書 泰書(주서 태서)」

*文母라고 하면 '문왕의 어머니'라는 뜻이다. 하지만 임금의 아내를 국모(國母)라고 표현하는 것처럼 '문왕의 아내'로 보는 듯하다. 그러나 주(註)에서처럼 어머니를 신하로 삼는 의리가 없기 때문에 무왕의 아내일 가능성이 높다.

 

[원문]   하나 이라 니라

 

[독음] 공자왈재난이 불기연호아 당우지제어사위성하나 유부인언이라 구인이이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인재 (얻기가) 어려움이 그렇지 않겠는가? 요임금과 순임금의 즈음이 이보다 성대하나 부인이 거기에 있음이라 아홉 사람일 뿐이다.

 

[註] 稱孔子者 上係武王하니 君臣之際 記者謹之 才難 蓋古語而孔子之也 才者 德之用也 唐虞 堯舜有天下之號  交會之間이니 言周室人才之多惟唐虞之際에 乃盛於此나 降自夏商은 皆不能及이라 然猶但有此數人爾 是才之難得也라

 

[독음] 칭공자자는 상계무왕하니 군신지제라 기자근지라 재난은 개고어이공자연지야라 재자는 덕지용야라 당우는 요순유천하지호라 제는 교회지간이니 언주실인재지다유당우지제에 내성어차나 강자하상은 개불능급이라 연유단유차수인이니 시재지난득야라

 

[註解] 공자라고 칭한 것은 위에서 무왕에 이은 것이니 임금과 신하의 사이이다. 기록하는 사람이 삼간 것이다. 재난(才難)은 아마도 옛 말인데 공자께서 분명하게 여긴 듯하다. 재(才)라는 것은 덕의 쓰임이다. 당우(唐虞)는 요임금과 순임금이 천하를 소유한 호칭이다. 제(際)는 사귀고 만나는 사이이니 주나라 왕실의 인재가 많음이 오직 요임금과 순임금의 때에 곧 이보다(주나라보다) 성대하였으나 내려가서 하나라와 상나라로부터는 모두 능히 미치지 못하였음을 말한다. 그러나 오히려 다만 이 몇 사람이 있었을 뿐이니 이것이 재주를 얻기 어려움이다.

 

*은 여러 용례가 있는데 여기서는 "명백하다" "분명하다"의 뜻으로 쓰인 듯하다.

 

[원문]  하사 하시니 )은 로다

 

[독음] 삼분천하에 유기이하사 이복사은하시니 주지덕은 기가위지덕야이의로다

 

[해석] 천하를 셋으로 나눔에 그 둘을 소유하사 복종으로써 은나라를 섬기시니 주나라의 덕은 아마도 가히 지극한 덕이라고 이를만 하다.

 

[註] 春秋傳曰文王 率商之畔國하야 以事紂라하니 蓋天下 歸文王者六州 荊梁雍豫徐揚也 惟靑兗冀尙屬紂耳라 范氏曰文王之德 足以代商이라 天與之人歸之로대 乃不取而服事焉하니 所以爲至德也 孔子因武王之言하야 而及文王之德하고 且與泰伯으로 皆以至德稱之하니 其指微矣라 或曰宜斷三分以下하야 別以孔子曰起之하야 爲一章이라

 

[독음] 춘추전왈문왕이 솔상지반국하야 이사주라하니 개천하에 귀문왕자 육주니 형양옹예서양야요 유청연기상속주이라 범씨왈문왕지덕이 족이대상이라 천여지인귀지로대 내불취이복사언하니 소이위지덕야라 공자인무왕지언하야 이급문왕지덕하고 차여태백으로 개이지덕칭지하니 기지미의라 혹왈의단삼분이하하야 별이공자왈기지하야 이자위일장이라

 

[註解] 춘추좌전에 이르길 "문왕이 상나라를 배반한 국가를 거느리고서 써 주(紂)왕을 섬겼다"하니 대개 천하에 문왕에게 귀의하는 자가 여섯 주(州)이니 형주 양주 옹주 예주 서주 양주요 오직 청주 연주 기주 상주가 또한 주(紂)왕에게 속했다. 범씨가 말했다. "문왕의 덕이 족히 써 상나라를 대신할만 했다. 하늘이 그것을 주고 사람들이 그에게 귀의하였으되 이내 취하지 않고 복종하여 (상나라를) 섬겼으니 써 지극한 덕이 되는 바이다. 공자가 무왕의 말에 인하여 문왕의 덕에 미치고 또 태백으로 더불어 모두 지극한 덕으로써 그것을 칭하니 그 뜻이 은미하다." 혹자가 말했다. "마땅히 (원문의) 삼분(三分) 이하를 끊어서 별도로 孔子曰로 그것을 일으켜 한 장을 삼아야 한다.

 

*를 여기서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조금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 언급되는 요임금, 순임금, 주(紂)왕, 문왕, 무왕 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할 것.

https://nothingtoanyone.tistory.com/category/%EB%8F%99%EC%96%91%EA%B3%A0%EC%A0%84%20%EC%9D%BD%EA%B8%B0/%EC%82%AC%EB%9E%B5%EC%96%B8%ED%95%B4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