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升車하사 必正立執綏러시다
[독음] 승거하사 필정립집수러시다
[해석] 수레에 오르사 반드시 바르게 서서 끈을 잡으셨다.
[註] 綏는 挽以上車之索也라 范氏曰正立執綏則心體無不正而誠意肅恭矣라하니 蓋君子莊敬이 無所不在하니 升車則見於此也라
[독음] 수는 만이상거지삭야라 범씨왈정립집수즉심체무부정이성의숙공의라하니 개군자장경이 무소부재하니 승거즉현어차야라
[註解] 수(綏)는 당겨서 써 수레 위로 하는 끈이다. 범씨가 말했다. "바르게 서서 끈을 잡으면 몸과 마음이 바르지 않음이 없고 뜻이 성실하고 엄숙하고 공경한다하니 대개 군자가 씩씩하고 공경스러움이 존재하지 않는 바가 없으니 수레에 오르면 여기에 나타난다.
[원문] 車中에 不內顧하시며 不疾言하시며 不親指러시다
[독음] 거중에 불내고하시며 부질언하시며 불친지러시다
[해석] 수레 속에 안을 돌아보지 않으시며 빨리 말하지 않으시며 친히 가리키지 않았다.
[註] 內顧는 回視也라 禮曰顧不過轂이라하니 三者皆失容이요 且惑人이라
[독음] 내고는 회시야라 예왈고불과곡이라하니 삼자개실용이요 차혹인이라
[註解] 내고(內顧)는 돌아 보는 것이다. 예기에 "돌아봄이 수레 바퀴를 지나지 않는다"하니 세가지는 모두 용모를 잃음이요 또 남을 의혹한다.
[註] ○此一節은 記孔子升車之容이라
[독음] ○차일절은 기공자승거지용이라
[註解] ○이 한 절은 공자가 수레에 오름의 용모를 기록함이라.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장 (1) | 2023.03.20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향당편 17장 (完) (1) | 2023.02.0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향당편 15장 (2) | 2023.01.30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향당편 14장 (0) | 2023.01.27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향당편 13장 (0) | 2023.01.26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