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色斯擧矣하야 翔而後集이니라

 

[독음] 색사거의하야 상이후집이니라

 

[해석] 새가 얼굴 빛을 보고 이에 날아올라서 빙빙돌아 내려와 그쳤다.

 

[註] 言鳥見人之顔色不善則飛去하야 回翔審視而後下止하니 人之見幾而作하야 審擇所處亦當如此 然此上下 必有闕文矣라

 

[독음] 언조견인지안색불선즉비거하야 회상심시이후하지하니 인지견기이작하야 심택소처역당여차라 연차상하에 필유궐문의라 

 

[註解] 말하자면 새가 사람의 안색이 좋지 못함을 보면 날아서 떠나 빙빙 돌면서 살펴 본 뒤에 내려와 그치니 사람의 기미를 보고 일어나서 처할 바를 살펴 택함이 또한 마땅히 이와 같다. 그러나 이 위 아래에 반드시 빠진 글이 있었을 것이다.

 

*궐문(闕文) : 문장() 중()에서 빠진 글자나 또는 빠진 글귀(-).(네이버한자사전)

 

[원문] 曰山梁雌雉時哉時哉인저 子路共之한대 三嗅而作하시다

 

[독음] 왈산량자치시재시재인저 자로공지한대 삼후이작하시다

 

[해석] "산의 통나무 다리에 꿩이 때이구나 때이구나 자로가 그것을 바치니 세번 냄새 맡으시고 일어나셨다.

 

[註] 邢氏曰梁은 橋也라 時哉는 言雉之飮啄得其時라하니 子路不達하고 以爲時物而共具之한대 孔子不食하고 三嗅其氣而起라 晁氏曰石經에 嗅作戞하니 謂雉鳴也라하고 劉聘君曰嗅는 當作狊이니 古闃反하니 張兩翅也요 見爾雅라 愚按호니 如後兩說則共字는 當爲拱執之義라 然此必有闕文이니 不可强爲之說이요 姑記所聞以俟知者하노라

 

[독음] 형씨왈량은 교야라 시재는 언치지음탁득기시라하니 자로부달하고 이위시물이공구지한대 공자불식하고 삼후기기이기라 조씨왈석경에 후작알하니 위치명야라하고 류빙군왈후는 당작격이니 고격반하니 장량시야요 견이아라 우안호니 여후량설즉공자는 당위공집지의라 연차필유궐문이니 불가강위지설이요 고기소문이사지자하노라 

 

[註解] 형씨가 말했다. "량(梁)은 교량이다. 시재(時哉)는 꿩이 마시고 쪼아서 그 때를 얻음을 말한다 하니 자로가 알지 못하고 써 때에 맞는 제물로 여겨 그것을 구하여 바쳤는데 공자께서 먹지 않고 세번 냄새 맡고 그 기운으로 일어나셨다." 조씨가 말했다. "비석의 글에 후(嗅)는 알(戞)로 되어 있으니 꿩이 우는 것을 이른다"라 하고 류빙군은 "후(嗅)는 마땅히 격(狊)으로 고쳐야하니 고격반(古闃反)이니 두 날개를 크게 하는 것이요  『이아(爾雅)』에 보인다. 내가 살펴보니 뒤의 두 해설과 같으면 공(共)이라는 글자는 마땅히 마주잡고 붙잡는다는 뜻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궐문이 있을 것이니 가히 억지로 해설할 수 없음이요 짐짓 들은 바로써 기록하여 아는 자를 기다린다.

 

*고격반(古闃反)은 보통 특정 글자를 읽을 때 소주(小註)에 글자의 읽는법을 표기하는 방식을 그대로 사용한 듯하다.

*이아(爾雅) : 유교 경전. 유교 경전의 집성으로서 당나라 때 이루어진 개성석경(開成石經)인 ‘12경’이나 송나라 때 성립한 ‘13경’에 포함되어 있는 경전의 하나이다.(네이버지식백과)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