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已矣乎라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케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쩔 수 없구나. 나는 아직 그의(자신의) 허물을 보고 안에서(내면에서) 스스로 반성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註] 已矣乎者는 恐其終不得見而歎之也라 內自訟者는 口不言而心自咎也라 人有過而能自知者鮮矣요 知過而能內自訟者爲尤鮮이라 能內自訟則其悔悟深切而能改必矣라 夫子自恐終不得見而歎之하니 其警學者深矣라
[註解] 已矣乎者는 끝내 그를(그러한 사람을) 볼 수 없음을 원망하여서 탄식한 것이다. 內自訟者는 입으로 말하지 않고 마음 속으로 자책하는 것이다. 사람이 허물이 있으면 능히 스스로 아는 사람이 드물고 허물을 알아도 내면에서 스스로 반성하는 사람은 더욱 드물다. 능히 내면에서 스스로 반성할 수 있으면 그 잘못을 뉘우치고 깨달음이 깊고 간절하여 고치기를 반드시 할 것이다. 공자께서 스스로 끝내 볼 수 없음을 원망하여서 탄식하신 것이니 배우는 자들이 깊이 깨우치신 것이다.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옹야편 1장 해석 (0) | 2021.12.15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공야장편 27장 完 해석 (0) | 2021.12.14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공야장편 25장 해석 (0) | 2021.12.12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공야장편 24장 해석 (0) | 2021.12.10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공야장편 23장 해석 (0) | 2021.12.09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