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使이로다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중궁은 남면을 시킬만 하다.

 

[註]    하야 

 

[註解] 남면은 임금의 다스림(정치)을 듣는 지위이다. 중궁이 관대하고 마음이 넓으며 번거로움이 없고 중후하여 임금의 도량이 있음을 말씀하신 것이다.

 

[원문]  子한 이니라

 

[해석] 중궁이 '자상백자'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간략함이 괜찮다.

 

*'簡'라는 공자의 대답에 대해 공자는 "그가 소략하다(치밀하지 못하다)"는 뜻이었는데 중궁이 "대범하다"라는 뜻으로 잘못 이해한 것이다. 簡은 여기서 소략하다(부정적의미)와 대범하다(긍정적의미)의 두 가지로 쓰인다. 

 

[註]  이라       

 

[註解] 자상백자는 노나라 사람이다. 호씨가 의심컨대 장주(周)가 칭한 바 戶라는 사람이 그인듯 하다. 중궁이 공자께서 자신을 남면으로 허여하셨기 때문에 자상백자는 어떠한지 물은 것이다. 可라는 것은 겨우 괜찮아서 다하지 못하는 바가 있음을 말한 것이다. 簡이라는 것은 버거롭지 않음을 이른다.

 

[원문]  簡하 이면 잇가 이면 잇가

 

[해석] 중궁이 말했다. 경에 거하면서 대범함을 행하여 (그것을 가지고) 그 백성에 임하면 또한 괜찮지 않겠습니까? 소략함에 거하면서 대범함을 행하면 너무 대범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乎'와 '乎'는 비슷한 패턴의 문장이지만 전자는 긍정문, 후자는 부정문이다.

 

[註] 嚴하 簡하야 하리니 어니와  이면   하니 라하니 子는   인저

 

[註解] 스스로 처하기를 경으로써 하면 마음속에 주장함이 있어 스스로를 다스림이 엄하게 되니 이처럼 하고서 대범하게 행하여 백성에 임하면 정사가 번거롭지 않아서 백성들이 소요하지 않을 것이니 괜찮은 것이 될 수 있지만, 만약 먼저 스스로 처하기를 소략함으로 하면 마음속에 주장함이 없어서 스스로 다스림이 소홀해지고 행하는 바가 또 대범하면 어찌 너무 대범함에 잘못되어 지킬만한 법도가 없는 것이 아니겠는가? 《공자가어》에 자상백자가 의관을 갖추지 않고 거처하니 공자께서 그가 사람의 도리를 소와 말에 같고자 한다고 기롱하셨다"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자상백자는 아마도 크게 소략할 것이니 중궁이 공자께서 지나치게 허여하심을 의심한 것이다.

 

[원문]  然하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중궁의 말이 옳다. 

 

*이 문장에 대해 첫문장이 이 뒤로 와야한다는 설이 있다.

 

[註]    

 

[註解] 중궁이 아마도 공자께서 말씀하신 可라는 글자의 뜻을 깨우치지 못하였으나 그가 말한 이치는 묵묵히 거기에 합하는 것이 있으므로 공자께서 옳다고 하신 것이다.

 

[註] ○ 이라 라하니  이요 簡하야 이라하니  이라 이요 하야  이라

 

[註解] ○정자가 말씀하셨다. 자상백자의 簡이 비록 취할만 하지만 아직 지극히 선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괜찮다고 이르셨다고 하니 중궁이 인하여 말하기를 "내면에 경을 주장하면서 간략하면 요긴하고 올곧게 되고(대범해지고) 내면에 간략함이 있고서 간략하면 소략해진다"고 하니 그 뜻을 깨달았다고 이를만하다. 또 말씀하셨다. 경에 거하면 마음속에 어떤 것도 없게 된다. 그러므로 행하는 바가 저절로 간략해지고 간략함에 처하면 먼저 간략함에 마음을 두어서 하나의 簡이라는 글자가 많게 되므로 너무 간략하다고 한 것이다.

 

*物은 나를 제외한 모든 것, 예컨대 주변 환경, 사건, 남 등을 의미한다.

 

**簡이라는 글자의 해석 때문에 논어 중에서 해석하기 어려운 문장 중 하나가 아닌가싶다. 나중에 다시 정리해볼 필요가 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