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子曰雍也는 可使南面이로다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중궁은 남면을 시킬만 하다.
[註] 南面者는 人君聽治之位라 言仲弓이 寬洪簡重하야 有人君之度也라
[註解] 남면은 임금의 다스림(정치)을 듣는 지위이다. 중궁이 관대하고 마음이 넓으며 번거로움이 없고 중후하여 임금의 도량이 있음을 말씀하신 것이다.
[원문] 仲弓이 問子桑伯子한대 子曰可也簡이니라
[해석] 중궁이 '자상백자'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간략함이 괜찮다.
*'可也簡'라는 공자의 대답에 대해 공자는 "그가 소략하다(치밀하지 못하다)"는 뜻이었는데 중궁이 "대범하다"라는 뜻으로 잘못 이해한 것이다. 簡은 여기서 소략하다(부정적의미)와 대범하다(긍정적의미)의 두 가지로 쓰인다.
[註] 子桑伯子는 魯人이라 胡氏以爲疑卽莊周所稱子桑戶者是也라 仲弓以夫子許己南面故로 問伯子如何라 可者는 僅可而有所未盡之辭라 簡者는 不煩之謂라
[註解] 자상백자는 노나라 사람이다. 호씨가 의심컨대 장주(莊周)가 칭한 바 子桑戶라는 사람이 그인듯 하다. 중궁이 공자께서 자신을 남면으로 허여하셨기 때문에 자상백자는 어떠한지 물은 것이다. 可라는 것은 겨우 괜찮아서 다하지 못하는 바가 있음을 말한 것이다. 簡이라는 것은 버거롭지 않음을 이른다.
[원문] 仲弓이 曰居敬而行簡하야 以臨其民이면 不亦可乎잇가 居簡而行簡이면 無乃大簡乎잇가
[해석] 중궁이 말했다. 경에 거하면서 대범함을 행하여 (그것을 가지고) 그 백성에 임하면 또한 괜찮지 않겠습니까? 소략함에 거하면서 대범함을 행하면 너무 대범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不亦可乎'와 '無乃大簡乎'는 비슷한 패턴의 문장이지만 전자는 긍정문, 후자는 부정문이다.
[註] 言自處以敬則中有主而自治嚴하니 如是而行簡하야 以臨民則事不煩而民不擾하리니 所以爲可어니와 若先自處以簡則中無主而自治疎矣요 而所行又簡이면 豈不失之大簡而無法度之可守乎아 家語에 記伯子不衣冠而處하니 夫子譏其欲同人道於牛馬라하니 然則伯子는 蓋大簡者니 而仲弓이 疑夫子之過許與인저
[註解] 스스로 처하기를 경으로써 하면 마음속에 주장함이 있어 스스로를 다스림이 엄하게 되니 이처럼 하고서 대범하게 행하여 백성에 임하면 정사가 번거롭지 않아서 백성들이 소요하지 않을 것이니 괜찮은 것이 될 수 있지만, 만약 먼저 스스로 처하기를 소략함으로 하면 마음속에 주장함이 없어서 스스로 다스림이 소홀해지고 행하는 바가 또 대범하면 어찌 너무 대범함에 잘못되어 지킬만한 법도가 없는 것이 아니겠는가? 《공자가어》에 자상백자가 의관을 갖추지 않고 거처하니 공자께서 그가 사람의 도리를 소와 말에 같고자 한다고 기롱하셨다"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자상백자는 아마도 크게 소략할 것이니 중궁이 공자께서 지나치게 허여하심을 의심한 것이다.
[원문] 子曰雍之言이 然하다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중궁의 말이 옳다.
*이 문장에 대해 첫문장이 이 뒤로 와야한다는 설이 있다.
[註] 仲弓이 蓋未喩夫子可字之意나 而其所言之理有黙契焉者故로 夫子然之라
[註解] 중궁이 아마도 공자께서 말씀하신 可라는 글자의 뜻을 깨우치지 못하였으나 그가 말한 이치는 묵묵히 거기에 합하는 것이 있으므로 공자께서 옳다고 하신 것이다.
[註] ○程子曰子桑伯子之簡이 雖可取而未盡善이라 故夫子云可也라하니 仲弓이 因言內主於敬而簡則爲要直이요 內存乎簡하야 而簡則爲疏略이라하니 可謂得其旨矣라 又曰居敬則心中無物이라 故所行自簡이요 居簡則先有心於簡하야 而多一簡字矣라 故曰大簡이라
[註解] ○정자가 말씀하셨다. 자상백자의 簡이 비록 취할만 하지만 아직 지극히 선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괜찮다고 이르셨다고 하니 중궁이 인하여 말하기를 "내면에 경을 주장하면서 간략하면 요긴하고 올곧게 되고(대범해지고) 내면에 간략함이 있고서 간략하면 소략해진다"고 하니 그 뜻을 깨달았다고 이를만하다. 또 말씀하셨다. 경에 거하면 마음속에 어떤 것도 없게 된다. 그러므로 행하는 바가 저절로 간략해지고 간략함에 처하면 먼저 간략함에 마음을 두어서 하나의 簡이라는 글자가 많게 되므로 너무 간략하다고 한 것이다.
*物은 나를 제외한 모든 것, 예컨대 주변 환경, 사건, 남 등을 의미한다.
**簡이라는 글자의 해석 때문에 논어 중에서 해석하기 어려운 문장 중 하나가 아닌가싶다. 나중에 다시 정리해볼 필요가 있다.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옹야편 3장 (0) | 2022.01.31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옹야편 2장 (0) | 2022.01.29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공야장편 27장 完 해석 (0) | 2021.12.14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공야장편 26장 해석 (0) | 2021.12.13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공야장편 25장 해석 (0) | 2021.12.12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