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死커  한대 하니라

 

[독음] 안연이 사커늘 문인이 욕후장지한대 자왈불가하니라

 

[해석] 안연이 죽거늘 제자들이 후하게 장사지내고자 하였는데 공자 가라사대 "옳지 않다"

 

[註] 喪具 家之有無라 貧而厚葬 不循理也 故夫子止之라

 

[독음] 상구는 칭가지유무라 빈이후장은 불순리야라 고부자지지라

 

[註解] 상례에 쓰이는 도구는 집안의 있고 없음을 헤아려야 한다. 가난하면서 후하게 장사지냄은 순리가 아니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그치게 하신 것이다

 

*은 '일컫다', '칭하다'의 뜻으로 많이 쓰이는데, 소주(小註)에 去聲으로 되어있으므로 '걸맞다' '헤아리다' 등의 뜻으로 해석했다.

 

[원문]  한대

 

[독음] 문인이 후장지한대

 

[해석] 제자들이 후하게 장례를 지냈는데

 

[註] 蓋顔路聽之라

 

[독음] 개안로청지라

 

[註解] 아마도 안로가 그것을 들어주었다.

 

[원문]  어늘 호니  니라

 

[독음] 자왈회야는 시여유부야어늘 여부득시유자야호니 비아야라 부이삼자야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회는 나 보기를 아버지가이 하였거늘 나는 자식 같이 볼 수 없었으니 내가 그런것이 아니라 그대들이 그런 것이다.

 

[註] 嘆不得如葬鯉之得宜하야 以責門人也라

 

[독음] 탄부득여장리지득의하야 이책문인야라

 

[註解] 공리(孔鯉)의 장례처럼 마땅함을 얻을 수 없음을 탄식하여 써 제자들을 책망하신 것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