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季路問事鬼神한대 子曰未能事人이면 焉能事鬼리오 敢問死하노이다 曰未知生이면 焉知死리오
[독음] 계로문사귀신한대 자왈미능사인이면 언능사귀리오 감문사하노이다 왈미지생이면 언지사리오
[해석] 계로가 귀신 섬기는 것을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능히 사람을 섬기지 못하면 어찌 능히 귀신을 섬기겠는가?" (계로가) "감히 죽음을 묻습니다." (공자가) "사는 것을 알지 못하면 어찌 죽음을 알겠는가?"
[註] 問事鬼神은 蓋求所以奉祭祀之意요 而死者는 人之所必有라 不可不知니 皆切問也라 然非誠敬足以事人則必不能事神이요 非原始而知所以生則必不能反終而知所以死하니 蓋幽明始終이 初無二理로대 但學之有序하야 不可躐等이라 故夫子告之如此라
[독음] 사문귀신은 개구소이봉제사지의요 이사자는 인지소필유라 불가부지니 개절문이야라 연비성경족이사인즉필불능사신이요 비원시이지소이생즉필불능반종이지소이사하니 개유명시종이 초무이리로대 단학지유서하야 불가렵등이라 고부자고지여차라
[註解] 귀신 섬김을 묻는 것은 제사를 받드는 바의 뜻을 구함이요 죽음이라는 것은 사람의 반드시 있는 바이다. 가히 알지 않을 수 없으니 모두 간절한 질문이다. 그러나 정성과 공경이 족히 써 사람 섬기는 것이 아니면 반드시 신을 섬길 수 없음이요 처음을 근원하여 써 사는 바를 알지 못하면 반드시 끝을 돌이켜서 써 죽는 바를 알지 못하니 대개 유(幽), 명(明), 시(始), 종(終)이 애초에 두 이치가 아닌데 다만 배움의 순서가 있어서 가히 단계를 넘을 수 없음이라 그러므로 공자께서 이와 같이 고하신 것이다.
[註] 程子曰晝夜者는 死生之道也니 知生之道則知死之道요 盡事人之道則盡事鬼之道니 死生人鬼一而二요 二而一者也라 或言夫子不告子路라하니 不知此乃所以深告之也라
[독음] 정자왈주야자는 사생지도야니 지생지도즉지사지도요 진사인지도즉진사귀지도니 사생인귀일이이요 이이일자야라 혹언부자불고자로라하니 부지차내소이심고지야라
[註解] 정자가 말했다. "낮밤이라는 것은 죽음과 삶의 도(道)이니 삶의 도를 알면 죽음의 도를 알고 사람 섬기는 도를 다하면 귀신 섬기는 도를 다하니 죽음과 삶, 사람과 귀신이 하나이면서 둘이요 둘이면서 하나인 것이다. 혹자가 "공자가 자로에게 고하지 않았다"고 말하니 이는 곧 깊이 고하신 까닭을 알지 못한 것이다.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3장 해석 (0) | 2023.05.01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2장 해석 (1) | 2023.04.24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0장 해석 (0) | 2023.04.1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8장, 9장 해석 (0) | 2023.04.10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7장 (0) | 2023.03.3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