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魯人이 爲長府러니
[독음] 노인이 위장부러니
[해석] 노나라 사람이 창고를 고치니
[註] 長府는 藏名이라 藏貨財曰府라 爲는 蓋改作之라
[독음] 장부는 장명이라 화재왈부라 위는 개개작지라
[註解] 장부(長府)는 창고 이름이다. 재화와 재물을 보관함을 부(府)라고 한다. 위(爲)는 아마도 고쳐 짓는 것이다.
*藏은 소주(小註)에 거성(去聲)이라고 되어있으므로 곳집, 창고 등의 명사로 쓰인다.
[원문] 閔子騫이 曰仍舊貫如之何요 何必改作이리오
[독음] 민자건이 왈잉구관여지하요 하필개작이리오
[해석] 민자건이 말했다. "옛 일을 인습함이 어떻겠는가? 어찌 반드시 고쳐야 하는가?"
[註] 仍은 因也요 貫은 事也라 王氏曰改作은 勞民傷財하니 在於得已則不如仍舊貫之善이라
[독음] 잉은 인야요 관은 사야라 왕씨왈개작은 노민상재하니 재어득이즉불여잉구관지선이라
[註解] 잉(仍)은 인습함이요 관(貫)은 일이다. 왕씨가 말했다. "고쳐 지음은 백성을 수고롭게 하고 재물을 상하게 하니 그칠 수 있음에 있어서는 옛 일을 인습함의 좋음만 못하다."
[원문] 子曰(자왈) 夫人(부인)이 不言(불언)이언정 言必有中(언필유중)이니라
[독음] 자왈부인이 불언이언정 언필유중이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저 사람이 말하지 않을 지언정 말하면 반드시 적중함이 있다."
[註] 言을 不妄發하고 發必當理는 惟有德者能之라
[독음] 언을 불망발하고 발필당리는 유유덕자능지라
[註解] 말을 망령되이 발하지 않고 발하면 반드시 이치에 마땅함은 오직 덕 있는 자가 능하다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5장 해석 (0) | 2023.05.02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4장 해석 (0) | 2023.05.02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2장 해석 (1) | 2023.04.24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1장 해석 (1) | 2023.04.12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0장 해석 (0) | 2023.04.1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