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厲하시며 猛하시며 이러시다

 

[독음] 자는 온이려하시며 위이불맹하시며 공이안이러시다

 

[해석] 공자께서는 온화하면서도 엄숙하시며 위엄이 있으면서도 사납지 않으시며 공손하시면서도 편안하셨다.

 

[註]    로대  하니 이라야 하야 이라       이라하니 

 

[독음] 려는 엄숙야라 인지덕성이 본무불비로대 이기질소부는 선유불편하니 유성인이라야 전체혼연하야 음양합덕이라 고기중화지기현어용모지간자여차라 문인이 숙찰이상기지니 역가견기용심지밀의라 억비지족이지성인이선언덕생자면 불능기라 고정자이위증자지언이라하니 학자소의반복이완심야라

 

[註解] 려는 엄숙함이다. 사람의 덕성이 본래 갖추어지지 않음이 없지만 기질의 부여받은 바는 치우치지 않음이 드무니 오직 성인이라야 전체가 혼연하여서 음양의 덕을 합하였다. 그러므로 그 중화의 기운이 용모의 사이에 나타난 것이 이와 같다. 문인들이 익히 살펴서 상세히 기록하였으니 또한 그 마음 쓰임의 면밀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지혜가 족히 써 성인을 알만하고 덕행을 잘 말하는 사람이 아니면 능히 기록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정자가 증자의 말씀이라고 여겼으니 배우는 자들이 마땅히 반복하여 마음에 새겨야 할 바이다.

 

*정자가 증자의 말씀이라고 여겼다는 말은 근거가 없는 듯하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