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 也하시며 러시다

 

[해석] 공자께서 한가롭게 거함에 용모가 펴시고(환하시고) 얼굴빛이 즐거우셨다(온화하셨다)

 

[註]      

 

[註解] 연거(居)는 한가롭게 일이 없는 때이다. 양씨가 말했다. 신신(申)은 그 용모가 편 것이요, 요요(夭)는 그 얼굴빛이 즐거운 것이다.

 

[註]    이라     하니  이요  이니 이라야 便

 

[註解] ○정자가 말씀하셨다. 이는 제자들이 성인을 잘 형용한 곳이니 신신이라는 글자의 설명이 부진하다. 그러므로 다시 요요라는 글자를 나타낸 것이다. 지금 사람들이 한가롭게 거할 때에 게으르고 방자하지 않으면 반드시 크게 엄하니 엄할 때에는 이 네 글자를 둘 수 없음이요, 게으르고 방자할 때에 또한 이 네 글자를 둘 수 없으니 오직 성인이라야 곧 저절로 중화의 기상이 있는 것이다.

 

*說不盡은 일종의 어류체 혹은 백화체(백화문)로 보인다.

*大는 太(태)로 읽는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