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甚矣라 吾衰也여 久矣라 吾不復夢見周公이로다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깊구나 나의 쇠함이여. 오래 되었다. 내가 다시 꿈속에서 주공을 뵙지 못하였다.
[註] 孔子盛時에 志欲行周公之道라 故夢寐之間에 如或見之러니 至其老而不能行也엔 則無復是心하야 而亦無復是夢矣라 故因此而自歎其衰之甚也라
[註解] 공자께서 왕성(旺盛)할 때에 뜻이 주공의 도를 행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꿈을 꾸는 사이에 혹 그를(주공을) 뵌 듯하였는데, 그 늙고 능히 (주공의 도를) 행할 수 없음에 이르름엔 다시 이러한 마음이 없어져서 또한 다시 이러한 꿈을 꿀 수 없었다. 그러므로 이로 인하여 스스로 그 쇠함이 심함을 한탄한 것이다.
[註] ○程子曰孔子盛時에 寤寐常存行周公之道러니 及其老也則志慮衰而不可以有爲矣라 蓋存道者心이니 無老少之異어니와 而行道者身이니 老則衰也라
[註解] ○정자가 말씀하셨다. 공자께서 왕성할 때에 낮에도 밤에도 항상 주공의 도를 행하여 보존하였는데, 그 늙음에 미쳐서는 생각이 쇠해져서 가히 써 함이 있지 못했다.(할 수 없었다) 대개 도를 보존하는 것은 마음이니 늙고 젊음의 다름이 없거니와 도를 행하는 것은 몸이니 늙으면 쇠해진다.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7장 (0) | 2022.03.30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6장 (0) | 2022.03.28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4장 (0) | 2022.03.25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3장 (0) | 2022.03.24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2장 (0) | 2022.03.23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