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自行束脩以上은 吾未嘗無誨焉이로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포(脯) 10개로부터 이상은 내가 아직 일찍이 가르치지 않음이 없다.
[註] 脩는 脯也니 十脡爲束이라 古者에 相見必執贄以爲禮라 束脩는 其至薄者라 蓋人之有生이 同具此理라 故聖人之於人에 無不欲其入於善이로대 但不知來學則無往敎之禮라 故苟以禮來則無不有以敎之也라
[註解] 修는 포(脯)이니 열 포가 속(束)이 된다. 옛적에 서로 만나면 반드시 집지(執贄)로써 예를 삼았다. 束修는 그 지극함이 옅은(적은) 것이다. 대개 사람이 태어나서 있음이 똑같이 이 이치를 갖추었다. 그러므로 성인이 사람들에게 그 선함에 들어가게 하고자 하지 않음이 없으되 다만 와서 배우는 것을 알지 못하니 가서 가르치는 예는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실로 예로써 오면 써 가르침이 있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執贄는 제자(弟子)가 스승을 처음으로 뵐 때 예폐(禮幣)를 가지고 가서 경의(敬意)를 나타냄, 신하(臣下)가 임금을 만날 때 예물(禮物)을 가지고 가서 경의(敬意)를 표(表)하던 일. 등을 의미한다.(네이버 한자사전)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9장 (0) | 2022.04.01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8장 (0) | 2022.03.3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6장 (0) | 2022.03.28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5장 (0) | 2022.03.27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4장 (0) | 2022.03.25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