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側에 러시다

 

[해석] 공자께서는 상(喪)을 당한 사람의 곁에서 먹을 때에 일찍이 배불리 하지 않았다.

 

[註] 하야 

 

[註解] 상에 임하여 슬퍼서 능히 달게 먹을 수 없었다.

 

[원문]  러시다

 

[해석] 공자께서 이 날에 곡하면 노래하지 않았다.

 

[註]  이니  하야 

 

[註解] 곡(哭)은 조문하여 곡함을 이르니 하루의 안에 슬픔이 남아서 아직 잊혀지지 않아 저절로 능히 노래하지 않음이라.

 

*自는 스스로, ~부터, 저절로(자연히) 등의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저절로의 뜻으로 해석하였다.

 

[註]     니라

 

[註解] ○ 사씨가 말했다. 배우는 자들이 이 두가지에 가히 성인의 성정이 바름을 볼 수 있으니 능히 성인의 성정을 안 이후에 가히 써 도를 배울 수 있다.

 

*情性은 거꾸로 하면 성정(性情)이 되어 성정으로 해석하였으나 어떤 성격이나 성질 등을 의미할 뿐, 성리학에서 말하는 성(性)과 정(情)은 아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