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食於有喪者之側에 未嘗飽也러시다
[해석] 공자께서는 상(喪)을 당한 사람의 곁에서 먹을 때에 일찍이 배불리 하지 않았다.
[註] 臨喪哀하야 不能甘也라
[註解] 상에 임하여 슬퍼서 능히 달게 먹을 수 없었다.
[원문] 子於是日에 哭則不歌러시다
[해석] 공자께서 이 날에 곡하면 노래하지 않았다.
[註] 哭은 謂弔哭이니 一日之內에 餘哀未忘하야 自不能歌也라
[註解] 곡(哭)은 조문하여 곡함을 이르니 하루의 안에 슬픔이 남아서 아직 잊혀지지 않아 저절로 능히 노래하지 않음이라.
*自는 스스로, ~부터, 저절로(자연히) 등의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저절로의 뜻으로 해석하였다.
[註] ○ 謝氏曰學者於此二者에 可見聖人情性之正也니 能識聖人之情性然後에 可以學道니라
[註解] ○ 사씨가 말했다. 배우는 자들이 이 두가지에 가히 성인의 성정이 바름을 볼 수 있으니 능히 성인의 성정을 안 이후에 가히 써 도를 배울 수 있다.
*情性은 거꾸로 하면 성정(性情)이 되어 성정으로 해석하였으나 어떤 성격이나 성질 등을 의미할 뿐, 성리학에서 말하는 성(性)과 정(情)은 아니다.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위정편 21장 해석 (0) | 2022.04.06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10장 (0) | 2022.04.02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8장 (0) | 2022.03.3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7장 (0) | 2022.03.30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6장 (0) | 2022.03.28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