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러니  者하 徑하 어든 也하노니이다

 

[해석] 자유가 무성(城)읍의 읍재가 되었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너는 거기서 사람을 얻었느냐?" (자유가) 말했다. "담대멸명(明)이라는 사람이 있으니 길을 다님에 빠른 길을 가지 않으며 공적인 일이 아니면 일찍이 저의 집에 이른 적이 없습니다."

 

*焉은 於之 또는 於是의 약자로 처소격 "~에"의 뜻으로 쓰였다.

*偃은 자유의 이름이다.

 

[註]  이라  이요  이요      하야   어든 하야  

 

[註解] 무성은 노나라 아래의 읍이다. 담대는 성이고 멸명은 이름이고 자(字)는 자우(子羽)다. 徑은 길이 작고 빠른 것이다. 公事는 향음주(鄕飮酒)와 향사례(鄕射禮), 법조문을 읽는 것 등과 같은 부류이다. 지름길로 가지 않는다면 거동을 반드시 바르게 하여서 작은 것을 보고 빨리 하고자 하는 뜻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공적인 일이 아니면 읍재를 보지 않으니 그가 스스로 지키는 것이 있어서 자신을 굽혀 남을 따르는 사사로움이 없음을 알 수 있다.

 

[註]  이라 하니  로도     이면 하리니  리오    이라

[註解] 양씨가 말했다. 정치를 함은 인재로써 우선삼는 것이다.(인재를 구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인재를 얻었냐고 물은 것이니 멸명과 같은 사람은 이 두 가지 작은 일로 보아도 그 정대한 실정을 알 수 있다. 후대에 지름길로 가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사람들이 반드시 오활(迂闊)하다고 하니 그의(읍재의) 집에 이르지 않으면 사람들이 반드시 대쪽같다고 하니 공씨의 문도가 아니면 그 누가 알아 취했겠는가? 내가(주자) 생각해보니 몸가짐을 멸명으로써 법으로 삼으면 구차하고 천한 부끄러움이 없을 것이고 사람 취하기를 자유로써 법을 삼으면 간사하고 아첨하는 의혹이 없을 것이다.

 

*苟는 진실로의 뜻으로도 쓰이지만 구차하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