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언마는 로이다  廢하나  이로다

 

[해석] 염구가 말했다. "선생님(공자)의 도를 좋아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힘이 부족합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힘이 부족한 사람은 중도에 그만두니 지금 너는 한계를 긋는 것이다."

 

*畫는 "그림 화"와 "그을 획"의 두 가지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그을 획"으로 읽는다.

 

[註]  이라  이니  

 

[註解] 힘이 부족하다는 것은 나아가고자 하나 그럴 수 없는 것이다. 畫은 나아갈 수 있으나 나아가려고하지 않는 것이니 畫이라고 이른 것은 마치 땅을 긋는 것처럼 스스로 한계를 두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以와 也는 일종의 숙어로 "~때문이다"의 뜻이다.

 

[註]    이라 使 리니  退 

 

[註解] ○ 호씨가 말했다. 공자께서 안회가 그 즐거워함을 고치지 않음을 칭찬하는 것을 염구가 들었다. 그러므로 이 말을 한 것이다. 그러나 염구가 공자의 도를 좋아함을 진실로 입이 고기를 좋아하는 것과 같이 하면 반드시 장차 힘을 다하여 구하였을 것이니 어찌 힘이 부족하다고 근심하겠는가? 한계를 긋고 나아가지 못하면 날로 퇴보할 뿐이니 이것이 염구가 재주에 국한된 까닭이다.

 

*추환(豢)은 꼴을 먹고 자란 소나 양, 곡식을 먹고 자란 개나 돼지를 의미하는데 여기서는 문맥상 고기로 의역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