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知之者不如好之者요 好之者不如樂之者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다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한다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
*원문에서 者는 사람으로 해석해도 무방하다. ex)아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註] 尹氏曰知之者는 知有此道也요 好之者는 好而未得也요 樂之者는 有所得而樂之也라
[註解] 윤씨가 말했다. 知之라는 것은 이 도(道)가 있음을 아는 것이요, 好之라는 것은 좋아하지만 아직 깨닫지 못한 것이요, 樂之라는 것은 깨달은 바가 있어서 그것을 즐기는 것이다.
[註] ○ 張敬夫曰譬之五穀하면 知者는 知其可食者也요 好者는 食而嗜之者也요 樂者는 嗜之而飽者也라 知而不能好則是知之未至也요 好之而未及於樂則是好之未至也니 此古之學者所以自彊(强)而不息者與인저
[註解] 장경부가 마했다. 오곡에 비유하면 아는 사람은 그것이 먹을 수 있는 것임을 아는 것이요, 좋아하는 사람은 먹고서좋아하는 사람이요, 즐기는 사람은 좋아하여서 배불리 먹은 사람이다. 알기만 하고 좋아하지 못하면 이는 앎이 지극하지 못한 것이요, 좋아하기만 하고 즐기는데 미치지 못하면 이는 좋아함이 지극하지 못한 것이니, 이는 옛적에 배우는 사람들이 스스로 힘쓰고 쉬지 않은 까닭일 것이다.
*학민문화사 영인본에는 彊으로 되어 있으나 종종 强으로 보는 곳도 있는 듯하다.
*所以는 ~까닭, 이유 등으로 해석된다.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옹야편 20장 (0) | 2022.02.25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옹야편 19장 (0) | 2022.02.24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옹야편 17장 (0) | 2022.02.22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옹야편 16장 (0) | 2022.02.2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옹야편 15장 (0) | 2022.02.2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