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知한   니라 仁한 이면 니라

 

[해석] 번지가 知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의 도의를 힘쓰고 귀신을 공경하되 멀리하면 지(知)라고 이를만 하다. (번지가) 仁을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인(仁)이라는 것은 어려운 것을 먼저하고 얻는 것을 뒤로 하면 인(仁)하다고 이를만 하다.

 

[註]     하고   하고   

 

[註解] 民은 또한 사람을 뜻한다. 獲은 얻는다는 뜻이니 인도의 마땅한 것에 오로지 힘쓰고 귀신의 알 수 없는 것에 미혹되지 않음은 지혜로운 사람의 일이다. 그 일의 어려운 것을 먼저하고 그 효용을 얻는 것은 뒤에 함은 인자(仁者)의 마음이다. 이것은 반드시 번지의 실수에 기인하여 말씀해주신 것이다.

 

[註]     敬이 이면    先하고   이요 하며  

 

[註解] ○ 정자가 말씀하셨다. "사람들이 귀신을 많이 믿는 것은 미혹된 것이고 믿지 않는 것은 또한 능히 공경하지 않으니 능히 공경하면서 멀리할 수 있으면 가히 知라고 이를만 하다." 또 말씀하셨다. "어려움을 먼저하는 것은 나를 극복하는 것이니 어려운 것을 우선삼고 얻는 바를 헤아리지 않음은 인(仁)한 것이다." 여씨가 말했다. "마땅히 힘써야 하는 것을 급하게 여기고 알기 어려운 것을 구하지 않으며 아는 것을 힘써 행하고 하기 어려운 바를 꺼리지 않아야 한다."

 

*以 A 爲 B : A로써 B를 삼다, 여기다

*計는 '계산하다'의 뜻으로 많이 쓰이지만 여기서는 '헤아리다'로 해석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