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人之過也各於其黨이니 觀過斯知仁矣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의 과실이 그 부류에 제각각이니 과실을 봄에 이 사람이 한지를 알 수 있다.

 

[] 類也程子曰人之過也各於其類君子常失於厚하고 小人常失於薄하며 君子過於愛하고 小人過於忍이라 尹氏曰於此觀之則人之仁不仁可知矣

 

[註解] 은 부류를 뜻한다. 정자가 말씀하셨다. 사람의 과실이 그 부류에 제각각이니 군자는 항상 후한 것에 잘못하고 소인은 항상 박한 것에 잘못하며 군자는 사랑에 지나치고 소인은 잔인한 것에 지나치다. 윤씨가 말했다. 여기에서 그것을 보면 사람의 하고 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吳氏曰後漢吳祐謂掾以親故受汚辱之名이라하니 所謂觀過知仁是也愚按호니 此亦但言人雖有過猶可卽此而知其厚薄이요 非謂必俟其有過而後賢否可知也

 

[註解] 오씨가 말했다. 후한 시대에 吳祐가 이르기를 이 어버이의 연으로써 汚辱의 이름을 받았다 하니 이른바 과실을 보면 함을 안다는 것이 이것이다. 내가(주자) 살펴보니 이것은 또한 다만 사람이 비록 과실이 있지만 오히려 이것으로 그 후박을 알 수 있음을 말한 것이고 반드시 그 과실이 있기를 기다린 뒤에 어질고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다고 이른 것은 아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