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子曰後生이 可畏니 焉知來者之不如今也리오 四十五十而無聞焉이면 斯亦不足畏也已니라
[독음] 자왈후생이 가외니 언지래자지불여금야리오 사십오십이무문언이면 사역부족외야이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후학자들이 가히 외경(존경)할만 하니 올 것(장래)이 나만 못할줄을 어찌 알겠는가? 40 50이 되어서 들리는 것이 없으면 이에 또한 족히 외경할 것이 없다."
[註] 孔子言後生이 年富力强하야 足以積學而有待니 其勢可畏라 安知其將來不如我之今日乎아 然或不能自勉하야 至於老而無聞則不足畏矣라하니 言此以警人하야 使及時勉學也라 曾子曰五十而不以善聞則不聞矣라하니 蓋述此意라 尹氏曰少而不勉하고 老而無聞則亦已矣어니와 自少而進者면 安知其不至於極乎아 是可畏也라
[독음] 공자언후생이 년부력강하야 족이적학이유대니 기세가외라 안지기장래불여아지금일호아 연혹불능자면하야 지어노이무문즉부족외의라하니 언차이경인하야 사급시면학야라 증자왈오십이불이선문즉불문의라하니 개술차의라 윤씨왈소이불면하고 노이무문즉역이의어니와 자소이진자면 안지기부지어극호아 시가외야라
[註解] 공자가 "후생이 나이가 젊고 힘이 강하여 족히 써 배움을 쌓고 기대할만한 것이 있으니 그 형세가 가히 외경할만 하다. 그 장래가 나의 오늘날만 못함을 어찌 알겠는가? 그러나 혹 능히 스스로 힘쓰지 못해서 늙어서 들리는 것(명성)이 없는데 이르면 족히 두려워할 것이 없다."라고 하니 이는 사람들을 경계하는 것으로써 그들로 하여금 때에 미쳐 학문에 힘쓰게 한 것이다. 증자가 "(나이가) 오십이어도 써 좋음을 듣지 못한다면 (영영) 듣지 못한다"고 하니 대개 이 뜻을 기술한 것이다.
윤씨가 말했다. "젊어서 (배움에) 힘쓰지 않고 늙어서 들음이 없으면 또한 끝나거니와 젊어서부터 나아가는 사람은 그 지극함에 이르지 못함을 어찌 알겠는가? 이는 가히 외경할만 한 것이다.
*'하고' 토는 학민문화사 영인본에는 보이지 않는다. 영인본에서는 老 뒤에 '하야'토가 붙어 있는데, 해석이 매끄럽지 못해 잘못된 토가 아닌가 생각된다.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24장 25장 (0) | 2022.11.22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23장 (0) | 2022.11.2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20장 21장 (0) | 2022.11.18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19장 (0) | 2022.11.17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18장 (0) | 2022.11.1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