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4장

[원문] 하며  니라

 

[독음] 자왈주충신하며 무우불여기자요 과즉물탄개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충과 신을 주장하며 나만 못한 사람을 벗하지 말고 과오가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註] 重出而逸其半이라

 

[독음] 중출이일기반이라

 

[註解] 거듭 나왔으나 그 반이 없어졌다.

 

*이 내용은 학이편 8장에 보인다.

https://nothingtoanyone.tistory.com/entry/%E3%80%90%EB%8F%99%EC%96%91%EA%B3%A0%EC%A0%84%EC%9D%BD%EA%B8%B0%E3%80%91%EB%85%BC%EC%96%B4%EC%A7%91%EC%A3%BC-%ED%95%99%EC%9D%B4%ED%8E%B8-8%EC%9E%A5

 

25장

[원문]  어니와  니라

 

[독음] 자왈삼군은 가탈수야어니와 필부는 불가탈지야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삼군은 가히 장수를 뺏을 수 있지만 평범한 사람은 뜻을 가히 뺏을 수 없다.

 

[註] 侯氏曰三軍之勇 在人하고 匹夫之志 在己 故帥可奪而志不可奪이니 如可奪則亦不足謂之志矣라

 

[독음] 후씨왈삼군지용은 재인하고 필부지지는 재기라 고수가탈이지불가탈이니 여가탈즉역부족위지지의라

 

[註解] 후씨가 말했다. "삼군의 용맹함은 사람에게 달려있고 평범한 사람의 뜻은 자신에게 달려있다. 그러므로 장수는 가히 뺏을 수 있으나 (필부의) 뜻은 가히 뺏을 수 없으니 만약 가히 뺏을 수 있다면 또한 족히 뜻이라 이를 수 없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