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자왈) 法語之言(법어지언)은 能無從乎(능무종호)아 改之爲貴(개지위귀)니라 巽與之言(손여지언)은 能無說乎(능무열호)아 繹之爲貴(역지위귀)니라 說而不繹(열이불역)하며 從而不改(종이불개)면 吾末如之何也已矣(오말여지하야이의)니라

 

[독음] 자왈법어지언은 능무종호아 개지위귀니라 손여지언은 능무열호아 역지위귀니라 열이불역하며 종이불개면 오말여지하야이의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바르게 해주는 말은 능히 좇지 않을 수 있겠는가? 고치는 것이 귀함이 된다. 완곡하게 해주는 말은 능히 기뻐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실마리를 찾음이 귀함이 된다. 기뻐하면서 실마리를 찾지 않으며 좇으면서 고치지 않으면 나도 어찌할 수 없다."

 

[註] 法語者 正言之也라 巽言者 婉而導之也  尋其緖也 法言 人所敬憚故 必從然이나 不改則面從而已라 巽言 無所乖忤故 必說然이나 不繹則又不足以知其微意之所在也라

 

[독음] 법어자는 정언지야라 손언자는 완이도지야라 역은 심기서야라 법언은 인소경탄고로 필종연이나 불개즉면종이이라 손언은 무소승괴고로 필열연이나 불역즉우부족이지기미의지소재야라

 

[註解] 법어라는 것은 바른 말이다. 손언이라는 것은 완곡하게 이끄는 것이다. 역은 그 실마리를 찾음이라. 법언은 사람들이 공경하고 두려워하는 바이므로 반드시 따라야 하지만 고치지 않으면 겉으로만 따를 뿐이다. 손언은 어그러지고 거스르는 바가 없으므로 반드시 기뻐하나 실마리를 찾지 않으면 또 족히 써 그 은미한 뜻의 있는 바를 알지 못함이라.

 

[註] ○楊氏曰法言 若孟子論行王政之類是也라 巽言 若其論好貨好色之類是也 語之而不達하고 拒之而不受 猶之可也어니와 其或喩焉則尙庶幾其能改繹矣어늘 從且說矣로대 而不改繹焉則是終不改繹也已 雖聖人이나 其如之何哉아

 

[독음] ○양씨왈법언은 약맹자논행왕정지류야라 손언은 약기논호화호색지류시야라 어지이부달하고 거지이불수는 유지가야어니와 기혹유언즉상서기기능개역의어늘 종차열의로대 이불개역언즉시종불개역야이니 수성인이나 기여지하재아

 

[註解] ○양씨가 말했다. "법언은 맹자가 왕도정치를 행할 것을 논한 따위와 같다.손언은 그 재물을 좋아하고 여색 좋아함을 논한것과 같은 것이 이것이다. 말해주는데도 도달하지 못하고 거절하고 받지 않음은 오히려 가하거니와 그 혹 깨닫는다면 오히려 거의 고치고 실마리를 찾을 수 있거늘 따르고 또 기뻐하는데 고치지 않고 실마리를 찾지 않는다면 이는 끝내 고치고 실마리를 찾지 않을 뿐이니 비록 성인이라도  어찌하겠는가?"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