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子畏於匡이러시니
[독음] 자외어광이러시니
[해석] 공자께서 광(匡) 땅에서 경계하시니
[註] 畏者는 有戒心之謂라 匡은 地名이니 史記云陽虎曾暴於匡이러니 夫子貌似陽虎라 故匡人이 圍之라
[독음] 외자는 유계심지위라 광은 지명이니 사기운양호증포어광이러니 부자모사양호라 고광인이 위지라
[註解] 외(畏)라는 것은 경계하는 마음이 있음을 이른다. 광(匡)은 땅 이름이니 사기(史記)에 이르길 양호가 일찍이 광 땅에서 포악하였으니 공자께서 용모가 양호와 닮았다. 그러므로 광 땅 사람들이 그를 포위하였다.
[원문] 曰(왈) 文王(문왕)이 旣沒(기몰)하시니 文不在玆乎(문부재자호)아
[독음] 왈문왕이 기몰하시니 문부재자호아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문왕이 이미 돌아가셨으니 문(文)이 나에게 있지 않겠는가?"
[註] 道之顯者를 謂之文이니 蓋禮樂制度之謂라 不曰道而曰文은 亦謙辭也라 玆는 此也니 孔子自謂라
[독음] 도지현자를 위지문이니 개예악제도지위라 불왈도이왈문은 역겸사야라 자는 차야니 공자자위라
[註解] 도가 드러난 것을 문(文)이라 이르니 대개 예악과 제도를 이른다. 도라고 하지 않고 문(文)이라고 함은 또한 겸양의 말이다. 자(玆)는 차(此)이니 공자 스스로를 이른다.
[원문] 天之將喪斯文也신댄 後死者不得與於斯文也어니와 天之未喪斯文也시니 匡人이 其如予에 何리오
[독음] 천지장상사문야신댄 후사자부득여어사문야어니와 천지미상사문야시니 광인이 기여여에 하리오
[해석] 하늘이 장차 이 문(文)을 없애고자 한다면 뒤에 죽은 사람(공자)이 이 문(文)에 참예할 수 없거니와 하늘이 아직 이 문을 없애려고 하지 않으시니 광 땅 사람이 나를 어찌하겠는가?
*喪과 與는 소주(小註)에 거성(去聲)으로 되어 있으므로 각각 "없애다"와 "참예하다"로 해석한다. 아래 주(註)에도 같은 의미로 쓰였다.
*如予何는 如之何와 같은 구조이다. 如之何가 '어떻게 합니까'로 해석된다면 지(之)가 빠지고 여(予)가 들어갔으므로 '나를 어떻게 하겠는가'로 해석하였다.
[註] 馬氏曰文王이 旣沒故로 孔子自謂後死者라 言天若欲喪此文인댄 則必不使我로 得與於此文이어니와 今我旣得與於此文하니 則是天未欲喪此文也라 天旣未欲喪此文이시니 則匡人이 其奈我何리오하니 言必不能違天害己也라
[독음] 마씨왈문왕이 기몰고로 공자자위후사자라 언천약욕상차문인댄 즉필불사아로 득예어차문이어니와 금아기득예어차문하니 즉시천미욕상차문야라 천기미욕상차문이시니 즉광인이 기내아하리오하니 언필불능위천해기야라
[註解] 마씨가 말했다. "문왕이 이미 돌아가셨으므로 공자께서 스스로를 일러 뒤에 죽은 사람이라고 하셨다." 하늘이 만약 이 문(文)을 없애고자 한다면 반드시 나로 하여금 이 문(文)에 참예할 수 없게 했겠지만 이제 내가 이미 이 문(文)에 참예할 수 있으니 이는 하늘이 이 문(文)을 없애고자 하지 않은 것이다. 하늘이 이미 이 문(文)을 없애고자 하지 않으시니 광 땅 사람들이 그 어찌 나를 어떻게하겠는가? 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반드시 하늘을 어기고 나를 해칠 수 없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奈我何는 원문의 如予何와 같다.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7장 (1) | 2022.11.12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6장 (1) | 2022.11.02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4장 (0) | 2022.10.3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3장 (1) | 2022.10.29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2장 (0) | 2022.10.29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