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好勇疾貧이 亂也요 人而不仁을 疾之已甚이 亂也니라
[독음] 자왈호용질빈이 난야요 인이불인을 질지이심이 난야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용맹을 좋아하면서 가난을 미워하는 것이 난을 일으키고 사람으로서 인(仁)하지 않음을 미워함이 이미 심한 것이 난을 일으킨다"
[註] 好勇而不安分則必作亂하고 惡不仁之人하여 而使之無所容則必致亂이니 二者之心은 善惡이 雖殊然이나 其生亂則一也라
[독음] 호용이불안분즉필작란하고 오불인지인하여 이사지무소용즉필치란이니 이자지심은 선악이 수수연이나 기생난즉일야라
[註解] 용맹을 좋아하면서 분수를 편안히 하지 않으면 반드시 난이 일어나고 인(仁)하지 않은 사람을 미워하여 그들로 하여금 용납할 바를 없게 하면 반드시 난이 일어나니 두가지의 마음은 선악이 비룩 다르나 그 난을 일으킴은 하나다(같다).
*分은 거성(去聲)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므로 분수(分數)로 해석하였다. 분수(分數) : 사물(事物)을 분별(分別)하는 슬기. 자기(自己)에게 알맞은 한도(限度). (네이버한자사전).
*惡은 여기서 '미워할 오'로 읽는다.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 】논어집주 - 태백편 12장 (1) | 2022.09.22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태백편 11장 해석 (0) | 2022.09.22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태백편 9장 (1) | 2022.09.2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태백편 8장 (1) | 2022.09.20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태백편 7장 (0) | 2022.09.16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