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也요   니라

 

[독음] 자왈호용질빈이 난야요 인이불인을 질지이심이 난야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용맹을 좋아하면서 가난을 미워하는 것이 난을 일으키고 사람으로서 인(仁)하지 않음을 미워함이 이미 심한 것이 난을 일으킨다"

 

[註] 하고 하여 使이니   이나 

 

[독음] 호용이불안분즉필작란하고 오불인지인하여 이사지무소용즉필치란이니 이자지심은 선악이 수수연이나 기생난즉일야라

 

[註解] 용맹을 좋아하면서 분수를 편안히 하지 않으면 반드시 난이 일어나고 인(仁)하지 않은 사람을 미워하여 그들로 하여금 용납할 바를 없게 하면 반드시 난이 일어나니 두가지의 마음은 선악이 비룩 다르나 그 난을 일으킴은 하나다(같다).

 

*은 거성(去聲)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므로 분수(分數)로 해석하였다. 분수(分數) : 사물()을 분별()하는 슬기. 자기()에게 알맞은 한도(). (네이버한자사전).

*은 여기서 '미워할 오'로 읽는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