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三年學에 不至於穀을 不易得也니라
[독음] 자왈삼년학에 부지어곡을 불이득야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삼년을 배움에 녹봉에 뜻을두지 않음을 얻기가 쉽지 않다.
[註] 穀은 祿也라 至는 疑當作志라 爲學之久而不求祿如此之人을 不易得也라
[독음] 곡은 녹야라 지는 의당작지라 위학지구이불구녹여차지인을 불이득야라
[註解] 곡(穀)은 녹봉이다. 지(至)는 의심컨데 마땅히 지(志)로 바꿔야한다. 학문함이 오래되어도 녹을 구하지 않는 이러한 사람을 얻기가 쉽지 않다.
[註] ○ 楊氏曰雖子張之賢으로도 猶以干祿爲問이온 況其下者乎아 然則三年學에 而不至於穀을 宜不易得也라
[독음] 양씨왈수자장지현으로도 유이간록위문이온 황기하자호아 연즉삼년학에 이부지어곡을 의불이득야라
[註解] 양씨가 말했다. "비록 자장의 현명함으로도 오히려 녹봉을 구하는 것으로써 질문을 삼았는데 하물며 그 아래 사람들에 있어서랴. 그렇다면 삼년을 배움에 녹에 뜻을 두지 않음을 마땅히 얻기가 쉽지 않다."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태백편 14장 직역 (0) | 2022.10.27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태백편 13장 (0) | 2022.10.27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태백편 11장 해석 (0) | 2022.09.22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태백편 10장 해석 (0) | 2022.09.2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태백편 9장 (1) | 2022.09.2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