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語魯師樂曰樂은 其可知也니 始作에 翕如也하야 從之에 純如也하며 曒如也하며 繹如也하야 以成이니라

[해석] 공자께서 노나라 태사에게 음악에 대해 말씀하셨다. “음악은 알 수 있으니 시작할 때 합하여서 그것을 풀어놓음에 화합하며 분명하게 하며 연속되어 끊기지 않아서 그것으로써 한 악장을 끝마쳐야 한다.

*소주에 大音泰로 되어있으므로 ‘태’로 읽는다.

 

[註] 語는 告也라 大師는 樂官名이니 時音樂廢缺故로 孔子敎之라 翕은 合也라 從은 放也라 純은 和也라 曒는 明也라 繹은 相續不絶也라 成은 樂之一終也라

[註解] 語는 고한다는 뜻이다. 大師는 음악에 관한 관직 이름이니 당시에 음악이 폐지되고 결여되었으므로 공자께서 그에게 가르치신 것이다. 翕은 합한다는 것이다. 從은 풀어 놓는다는 뜻이다. 純은 화합한다는 뜻이다. 曒는 분명하다는 뜻이다. 繹은 서로 연속되어서 끊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成은 음악의 한 악장을 끝내는 것이다.

[註] ○謝氏曰五音六律不具면 不足以言樂이라 翕如는 言其合也라 五音合矣면 淸濁高下如五味之相濟而後和라 故曰純如요 合而和矣면 欲其無相奪倫이라 故曰曒如라 然豈宮自宮而商自商乎아 不相反而相連이 如貫珠可也라 故曰繹如也하야 以成이라하니라

[註解] ○사씨가 말했다. 오음과 육률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족히 써 음악이라 말할 수 없다. 翕如는 그것을 합한다는 말이다. 오음을 합하면 맑고 탁하고 높고 낮음이 마치 다섯 가지 맛이 서로 도와준 이후에 조화하는 것과 같으므로 純如라고 한 것이다. 합하여서 조화를 이루면 서로 차례를 빼앗는 것이 없고자 하므로 曒如라고 말한 것이다. 그러나 어찌 궁은 궁만 하고 상은 상만 하겠는가? 서로 반대되지 않고서 서로 연결됨이 마치 구슬을 꿴 것과 같아야 하므로 繹如로써 음악을 끝낸다고 한 것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