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儀封人이 請見曰君子之至於斯也에 吾未嘗不得見也로다 從者見之한대 出曰二三子는 何患於喪乎리오 天下之無道也久矣라 天將以夫子로 爲木鐸이시리라

[해석] 의 땅의 封人이 뵙기를 청하며 말했다. “군자가 여기에 다다름에 내가 일찍이 만나보지 못한 적이 없었다.” 따르는 자가 뵙게 해주자 (뵌 뒤에) 나서며 말하길 그대들은 어찌 벼슬을 잃은 것을 걱정하는가? 천하가 무도한지 오래되었다. 하늘이 장차 공자로써 목탁을 삼으리라.

*공자로써 목탁을 삼는다는 것은 공자가 잃었던 지위를 다시 얻는다는 뜻과 지위를 잃고 목탁을 두드리게 된다는 뜻의 두 가지로 해석 될 수 있다.

 

[註] 儀는 衛邑이요 封人은 掌封疆之官이니 蓋賢而隱於下位者也라 君子는 謂當時賢者라 至此에 皆得見之는 自言其平日에 不見絶於賢者하야 而求以自通也라 見之는 謂通使得見이라 喪은 謂失位去國이니 禮에 曰喪欲速貧이 是也라 木鐸은 金口木舌이니 施政敎時에 所振以警衆者也라 言亂極當治니 天必將使夫子로 得位設敎하야 不久失位也라 封人이 一見夫子而遽以是稱之하니 其得於觀感之間者深矣라 或曰木鐸은 所以徇于道路니 言天使夫子로 失位하고 周流四方하야 以行其敎를 如木鐸之徇于道路也라

[註解] 儀는 위나라 읍이고 封人은 封疆을 관장하는 관원이니 아마도 어질면서 아랫자리에 숨은 사람일 것이다. 君子는 당시의 현자를 이른다. 至此에 皆得見之은 스스로 평소에 어진 사람에게 뵙기를 거절당하지 않았음을 말하여서 스스로 통하기를 구한 것이다. 見之는 통하여 封人으로 하여금 뵙게 함을 말한다. 喪은 지위를 잃고 나라를 떠났음을 이르니 禮(禮記)에 이르기를 “벼슬을 잃으면 빨리 가난해지려고 한다”고 한 것이 이것이다. 木鐸은 쇠로 입을 만들고, 나무로 혀를 만든 것이니 정사와 교화를 베풀 때에 떨친 것으로 대중을 경계하는 것이다. 어지러움이 극에 달하면 마땅히 다스려지니 하늘이 반드시 장차 공자로 하여금 지위를 얻어서 교화를 베풀게 하여 오랫동안 지위를 잃게 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封人이 한번 공자를 뵙고 갑작스레 이렇게 칭하였으니 그 보고 느끼는 사이에 얻은 것이 깊다. 혹자는 “木鐸은 도로에 순행하는 것이니 하늘이 공자로 하여금 지위를 잃게 하고 두루 사방을 떠돌며 그 가르침을 행하게 함을 목탁이 길을 따르는 것과 같은 것임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