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 巧言令色이 鮮矣仁이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이 좋은 사람이 어진 이가 드물다.
[註] 巧는 好요 令은 善也라 好其言善其色하야 致飾於外하야 務以悅人則人欲이 肆而本心之德亡矣라 聖人이 辭不迫切하야 專言鮮則絶無를 可知니 學者 所當深戒也라 ○程子曰 知巧言令色之非仁則知仁矣리라
[註譯] 巧는 ‘좋다’는 뜻이요 令은 좋다는 뜻이다. 그 말이 좋고 그 낯빛이 좋아서 외형을 꾸미기에 지극하여 그것을 가지고 남 기쁘게 하는데 힘쓰면 사람의 욕심이 방자해져서 본심의 덕을 잃게 된다. 성인은 말씀이 박절하지 않아서 다만 드물다고 하니 절대로 없음을 알 수 있다. 배우는 자들은 마땅히 깊이 경계할 바이다. ○정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을 좋게 하고 얼굴빛을 좋게 하는 자가 어질지 않음을 안다면 仁을 알 것이다.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학이편 6장 (0) | 2021.10.06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학이편 5장 (0) | 2021.10.06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학이편 4장 (0) | 2021.10.06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학이편 2장 (0) | 2021.10.05 |
【동양고전읽기】 논어집주 - 학이편 1장 (0) | 2021.10.05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