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子路問聞斯行諸잇가 子曰有父兄이 在하니 如之何其聞斯行之리오 冉有問聞斯行諸잇가 子曰 聞斯行之니라 公西華曰由也問聞斯行諸어늘 子曰有父兄在라하시고 求也問聞斯行諸어늘 子曰聞斯行之라하시니 赤也惑하야 敢問하노이다 子曰求也는 退故로 進之하고 由也는 兼人故로 退之호라
[독음] 자로문문사행저잇가 자왈유부형이 재하니 여지하기문사행지리오 염유문문사행저잇가 자왈문사행지니라 공서화왈유야문문사행저어늘 자왈유부형재라하시고 구야문문사행저어늘 자왈문사행지라하시니 적야혹하야 감문하노이다 자왈구야는 퇴고로 진지하고 유야는 겸인고로 퇴지호라
[해석] 자로가 물었다. "(옳은 것을) 들으면 이에(곧바로) 행해야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모와 형제가 있으니 어떻게 듣고서 곧장 행하겠는가?" 염유가 물었다. "(옳은 것을) 들으면 곧바로 행해야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들었으면 곧바로 행해야 한다" 공서화가 말했다. "자로(由)가 '들은 것을 곧바로 행해야 합니까?'하고 묻거늘 선생님께서 '부모와 형제가 있다'고 하시고 염유(求)가 '들은 것을 곧바로 행해야 합니까'라고 묻거늘 선생님께서 '들은 것을 곧바로 행해야 한다'고 하셨으니 저는(공서화) 당혹스러워서 감히 묻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염유는 물러나는 사람이므로 진취적으로 말하였고, 자로는 남보다 나은 사람이므로 물러나게 말한 것이다."
*斯는 영어로 this에 해당하는 是의 의미와 therefore에 해당하는 則의 의미를 가진다.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로 들었다면, 들으면 등으로 해석한다.
*兼人 : ①긍정의 뜻으로 '남을 겸했다' 즉 남보다 뛰어나다는 의미, ②부정의 뜻으로 '남을 겸하려 하기 때문에 과하다'의 의미를 가진다.
[註] 兼人은 謂勝人也라 張敬夫曰聞義면 固當勇爲然이나 有父兄在則有不可得而專者니 若不稟命而行則反傷於義矣라 子路有聞이요 未之能行하여서 惟恐有聞이라하니 則於所當爲에 不患其不能爲矣요 特患爲之之意或過而於所當稟命者에 有闕耳라 若冉求之資稟은 失之弱하니 不患其不稟命也요 患其於所當爲者에 逡巡畏縮而爲之不勇耳라 聖人이 一進之一退之는 所以約之於義理之中而使之無過不及之患也라
[독음] 겸인은 위승인야라 장경부왈문의면 고당용위연이나 유부형재즉유불가득이전자니 약불품명이행즉반상어의의라 자로유문이요 미지능행하여서 유송유문이라하니 즉어소당위에 불환기불능위의요 특환위지지의혹과이어소당품명자에 유궐이라 약염구지자품은 실지약하니 불환기불품명야요 환기어소당위자에 준순외축이위지불용이라 성인이 일진지일퇴지는 소이약지어의리지중이사지무과불급지환야라
[註解] 兼人은 나은 사람을 이른다. 장경부가 말했다. "의(義)를 들으면 진실로 마땅히 용맹하게 되나 부모와 형제가 있으면 오로지 할 수 없는 것이 있으니 만약 품부받은 명(命)으로 행하지 않으면 도리어 의(義)를 해치게 된다. 자로가 들은 것이 있었고 아직 행하지 못하여서 행여 (다른 말을) 들을까 염려하였다 하니 마땅히 해야할 바에 그 능히 하지 못함을 근심하지 말고 다만 행하려는 뜻이 혹 과하여 마땅히 품부 받은 명에 빠지는 거이 있을까 근심할 뿐이다. 염구의 품부받은 자질은 약함에 잘못이 있으니 그 명을 품부받지 않음을 근심하지 말고, 그 마땅히 해야할 바에 뒷걸음질 치고 위축되어 행하기를 용맹히 하지 못함을 근심할 뿐이다. 성인이 한 번 진취적이게 하고 한 번 물러나게 함은 의리의 가운데에 결속되어 그로 하여금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하는 근심이 없게끔 한 것이다.
*之에는 여러 용례가 있는데 여기서는 於의 의미로 쓰였다.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 논어집주 - 선진편 23장 해석 (0) | 2024.09.28 |
---|---|
【동양고전읽기】 논어집주 - 선진편 22장 해석 (0) | 2024.09.28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20장 해석 (2) | 2023.05.16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9장 해석 (2) | 2023.05.15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8장 해석 (0) | 2023.05.15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