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柴也는 愚하고
[독음] 시야는 우하고
[해석] 시(柴)는 어리석고
[註] 柴는 孔子弟子니 姓高요 字子羔라 愚者는 知不足而厚有餘라 家語에 記其足不履影하고 啓蟄不殺하며 方長不折하며 執親之喪에 泣血三年하야 未嘗見齒하고 避難而行에 不徑不竇라하니 可以見其爲人矣라
[독음] 시는 공자제자니 성고요 자자고라 우자는 지부족이후유여라 가어에 기기족불리영하고 계칩불살하며 방장부절하며 집시지상에 읍혈삼년하야 미상현치하고 피난이행에 불경불두라하니 가이견기위인의라
[註解] 시(柴)는 공자 제자니 성은 고(高)이고 자(字)는 '자고'이다. 어리석다는 것은 지혜가 충분하지 못하고 후덕함이 남음이 있는 것이다. 『공자가어』에 그 발로 그림자를 밟지 않고 동면에서 깬 벌레를 죽이지 않으며 자라는 것을 꺽지 않으며 어버이의 상을 맡아 다스림에 피 눈물을 3년간 하여 일찍이 이를 드러내지 않고 난리를 피하여 감에 지름길로 가지 않고 구멍으로 가지 않았다"고 기록하였으니 가히 써 그 사람 됨을 볼 수 있다.
[원문] 參也는 魯하고
[독음] 삼야는 노하고
[해석] 증삼은 노둔하고
[註] 魯는 鈍也라 程子曰參也는 竟以魯得之라 又曰曾子之學은 誠篤而已라 聖門學者聰明才辨이 不爲不多而卒傳其道는 乃質魯之人爾라 故學以誠實爲貴也라 尹氏曰曾子之才魯라 故其學也確하니 所以能深造乎道也라
[독음] 노는 둔야라 정자왈삼야는 경이노득지라 우왈증자지학은 성독이이라 성문학자총명재변이 불위부다이졸전기도는 내질노지인이라 고학이성실위귀야라 윤씨왈증자지재노라 고기학야확하니 소이능심조호도야라
[註解] 노는 노둔함이다. 정자가 말했다. "증삼은 마침내 노둔함으로써 그것(道)을 얻었다. 또 말했다. "증자의 학문은 성실함과 독실함 뿐이었다. 성인 문하의 배우는 자들이 총명하고 재주있고 말재주 있는 자가 많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마침내 그 도를 전한 것은 곧 노둔함을 바탕으로 한 사람이었다. 그러므로 배움은 성실함으로써 귀하다 여긴다." 윤씨가 말했다. "증자의 재주가 노둔하였다. 그러므로 그 배움이 단단하였으니 그래서 능히 깊이 도에 나아갈 수 있었다."
*之는 대명사로 쓰였는데 성리학 전통에서 공자의 도를 전한 이가 증삼이기에 道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았다.
*所以는 백화문 어류체로 '그래서'의 의미로 쓰인다.
[원문] 師也는 辟(하고)
[독음] 사야는 벽(하고)
[해석] 사(師, 子張)는 편벽되고
[註] 辟은 便辟也니 謂習於容止나 少誠實也라
[독음] 벽은 편벽이니 위습어용지나 소성실야라
[註解] 벽(辟)은 편벽됨이니 몸가짐과 태도에 익숙하나 성실함이 적음을 이른다.
[원문] 由也는 喭이니라
[독음] 유야는 언이니라
[해석] 유(由, 子路)는 거칠다.
[註] 喭은 粗俗也라 傳稱喭者는 謂俗論也라
[독음] 언은 조속야라 전칭언자는 위속론야라
[註解] 언(喭)은 거칠고 속됨이라 전(傳, 經과 구분할때의 傳)에 언(喭)이라고 일컬은 것은 속된 논리를 이른다.
[註] ○楊氏曰四者는 性之偏이니 語之하야 使知自勵也라 吳氏曰此章之首에 脫子曰二字라 或疑下章子曰이 當在此章之首而通爲一章이라
[독음] 양씨왈사자는성지편이니 어지하야 사지자려야라 오씨왈차장지수에 탈자왈이자라 혹의하장자왈이 당재차장지수이통위일장이라
[註解] 양씨가 말했다. "네 가지는 性의 편벽됨이니 그것을 말하여 스스로 힘쓸것을 알게끔 하신 것이다." 오씨가 말했다. "이 장의 머리에 자왈(子曰)이라는 두 글자가 빠졌다. 혹자가 아래 장의 자왈이 마땅히 이 장의 머리에 있어서 통틀어서 하나의 장이 되어야 한다고 의심한다."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9장 해석 (2) | 2023.05.15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8장 해석 (0) | 2023.05.15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6장 해석 (0) | 2023.05.04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5장 해석 (0) | 2023.05.02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14장 해석 (0) | 2023.05.02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