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자왈) (회야)는 (비조아자야)로다 (어오언)에 (무소불열)이온여

 

[독음] 자왈회야는 비조아자야로다 어오언에 무소불열이온여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회는 나를 돕는 사람이 아니다. 내 말에 대해 기뻐하지 않는 바가 없다."

 

[註] 助我 若子夏之起予 因疑問而有以相長也 顔子於聖人之言 心通하야 無所疑問이라 故夫子云然하니 其辭若有憾焉이나 其實 乃深喜之라

 

[독음] 조아는 약자하지기여니 인의문이유이상장야라 안자어성인지언에 묵식심통하야 무소의문이라 고부자운연하니 기사약유감언이나 기실은 내심희지라

 

[註解] 조아(助我)는 자하가 '나를 흥기한다'는 것과 같으니 의문에 인하여서 써 서로 성장함이 있는 것이다. 안회는 성인의 말에 대해 묵묵히 알고 마음으로 통하여 의문하는 바가 없다. 그러므로 공자가 이렇게 말한 것이니 그 말이 섭섭함이 있는 것 같으나 그 실제는 곧 깊이 기뻐함이라

 

*은 '식'과 '지', '치'로 읽힌다. '알다'의 의미일 때는 '지'로, '기록하다' '기억하다'의 의미일 때는 '식'으로, '깃발'의 의미일 때는 '치'로 읽힌다. 고전에서는 '식'과 '지'로 많이 쓰인다.

 

[註] ○胡氏曰夫子之於回 豈眞以助我望之리오 蓋聖人之謙德이요 又以深贊顔氏云爾라

 

[독음] 호씨왈부자지어회에 기진이조아망지리오 개성인지겸덕이요 우이심찬안씨운이라

 

[註解] 호씨가 말했다. "공자가 안회에 대해 어찌 진실로 써 나를 돕기를 바랐겠는가? 이는 성인의 겸손한 덕이요 또 써 깊이 안씨를 칭찬할 따름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