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南容이 三復白圭어늘 孔子以其兄之子로 妻之하시다
[독음] 남용이 삼복백규어늘공자이기형지자로 처지하시다
[해석] 남용이 세 번 백규(白圭)를 반복하거늘 공자가 그(공자) 형의 자식으로써 남용에게 시집보내셨다.
*三은 '세 번'으로 해석했으나 '여러 번', '자주'의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註] 詩大雅抑之篇曰白圭之玷은 尙可磨也어니와 斯言之玷은 不可爲也라하니 南容이 一日三復此言하니 事見家語하니 蓋深有意於謹言也라 此邦有道에 所以不廢하며 邦無道에 所以免禍라 故孔子以兄子로 妻之라
[독음] 시대아억지편왈백규지점은 상가마야어니와 사언지점은 불가위야라하니 남용이 일일삼복차언하니 사현가어하니 개심유의어근언야라 차방유도에 소이불폐하며 방무도에 소이면화라 고공자이형자로 처지라
[註解] 『시경』 「대아」 억抑 편에 "백규의 흠은 오히려 가히 갈 수 있거니와 이 말의 흠은 가히 그럴 수 없다"하니 남용이 날마다 세번 이 말을 반복하니 이 일이 『가어家語』에 드러나니 이는 말을 삼가는데 깊은 뜻을 둔 것이다. 이는 나라에 도가 있음에 버려지지 않는 바이며, 나라에 도가 없음에 화를 면하는 바이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형의 자식으로써 시집보낸 것이다.
[註] 范氏曰言者는 行之表요 行者는 言之實이니 未有易其言而能謹於行者라 南容이 欲謹其言이 如此則必能謹其行矣라
[독음] 범씨왈언자는 행지표요 행자는 언지실이니 미유이기언이능근어행자라 남용이 욕근기언이 여차즉필능근기행의라
[註解] 범씨가 말했다. "말이라는 것은 행실의 드러남이요 행실이라는 것은 말의 실제이니 그 말을 쉽게 하고서 능히 행실에 삼가는 사람이 있지 않다. 남용이 그 말을 삼가고자 하였음이 이와 같다면 반드시 그 행실을 삼갈 수 있었을 것이다.
*남용과 관련된 내용이 공야장편 1장에 보인다.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공야장 1장
[원문] 子謂公冶長하사대 可妻也로다 雖在縲絏之中이나 非其罪也라하시고 以其子로 妻之하시다 [해석] 공자께서 공야장을 두고 말씀하시길 “가히 시집보낼 만하다. 비록 포승줄에 결박되는
nothingtoanyone.tistory.com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7장 (0) | 2023.03.30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6장 (0) | 2023.03.29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4장 (0) | 2023.03.27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3장 (0) | 2023.03.22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선진편 2장 (0) | 2023.03.2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