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子曰富而可求也인댄 雖執鞭之士라도 吾亦爲之어니와 如不可求인댄 從吾所好호리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로서(부유함을) 구할 수 있다면 비록 채찍을 잡는 사람이라도 내가 또한 하겠거니와 만일 구할 수 없다면 내가 좋아하는 바를 좇으리라.
*士는 "선비"라는 뜻 말고도 여러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사내, 남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의역하여 사람이라고 하였다.
[註] 執鞭은 賤者之事라 設言富若可求則雖身爲賤役以求之라도 亦所不辭라 然有命焉하야 非求之可得也則安於義理而已矣니 何必徒取辱哉리오
[註解] 집편(執鞭)은 천한 사람의 일이다. 부(富)가 만약 가히 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비록 몸소 천역(賤役, 천한 일)을 해서 써 그것을 구하더라도 또한 사양하지 않을 바이다. 그러나 천명에 있어서 그것을 구하여 가히 얻을 수 없는 것이라면 의리에 편안할 뿐이니 어찌 반드시 한갖 욕됨을 취하리오.
[註] ○ 蘇氏曰聖人이 未嘗有意於求富也니 豈問其可不可哉리오 爲此語者는 特以明其決不可求爾라 楊氏曰君子非惡富貴而不求라 以其在天하야 無可求之道也라
[註解] ○ 소씨가 말했다. 성인이 아직 일찍이 부를 구함에 뜻이 있지 않으니 어찌 그 가하고(옳고) 불가함(그름)을 문초(問招, 따지다) 하리오. 이러한 말을 한 것은 다만 결코 가히 구할 수 없음을 밝히신 것이다. 양씨가 말했다. 군자는 부귀함을 미워하여서 구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그것이 천명(天命)에 달려있어서 가히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以~也는 함께 묶여서 "~때문이다"로 쓰일 때가 있다.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13장 해석 (0) | 2022.04.09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12장 해석 (0) | 2022.04.08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위정편 21장 해석 (0) | 2022.04.06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10장 (0) | 2022.04.02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술이편 9장 (0) | 2022.04.0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