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也인 라도 어니와 求인 호리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로서(부유함을) 구할 수 있다면 비록 채찍을 잡는 사람이라도 내가 또한 하겠거니와 만일 구할 수 없다면 내가 좋아하는 바를 좇으리라.

 

*士는 "선비"라는 뜻 말고도 여러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사내, 남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의역하여 사람이라고 하였다.

 

[註]   라도  하야  哉리오

 

[註解] 집편(鞭)은 천한 사람의 일이다. 부(富)가 만약 가히 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비록 몸소 천역(賤役, 천한 일)을 해서 써 그것을 구하더라도 또한 사양하지 않을 바이다. 그러나 천명에 있어서 그것을 구하여 가히 얻을 수 없는 것이라면 의리에 편안할 뿐이니 어찌 반드시 한갖 욕됨을 취하리오.

 

[註]    리오    하야 

 

[註解] ○ 소씨가 말했다. 성인이 아직 일찍이 부를 구함에 뜻이 있지 않으니 어찌 그 가하고(옳고) 불가함(그름)을 문초(問招, 따지다) 하리오. 이러한 말을 한 것은 다만 결코 가히 구할 수 없음을 밝히신 것이다. 양씨가 말했다. 군자는 부귀함을 미워하여서 구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그것이 천명(天命)에 달려있어서 가히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以~也는 함께 묶여서 "~때문이다"로 쓰일 때가 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