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使러니 粟한 釜하 益한 庾하라하야시늘 秉한

 

[해석] 자화가 제나라에 심부름을 갔는데 염자가 그의(자화의) 어머니를 위해 곡식을 청하자 공자께서 1釜를 주라고 하셨다. 다시 청하자 공자께서 1庾를 주라고 하셨는데 염자가 곡식 5秉을 주었다.

 

[註]  西 使 使  이요    이라

 

[註解] 자화는 공서적이다. 使는 공자를 위해 심부름 하는 것이다. 釜는 여섯 말 넉 되이고 庾는 60말이고 秉은 60 곡이다. 

 

[원문] 也에 馬하 裘하 吾는 호니  이오 라호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서적이 제나라에 갈때 살찐 말을 탔으며 가벼운 갖옷을 입었다. 내가 들어보니 군자는 위급한 사람을 구원하고 부유한 사람을 계속 (돕지) 않는다."

 

[註]      이라  

 

[註解] 살찐 말을 타고 가벼운 갖옷을 입는 것은 그가 부유함을 말한것이다. 急은 곤궁하고 절박한 것이다. 周는 부족한 사람을 도와주는 것이다. 繼는 여유 있는 사람을 계속하는 것이다.

 

[원문] 러니 이어시늘 辭한

 

[해석] 원사가 그의(공자의) 가신이 되었으니 곡식 9백을 주시거늘 사양하였다.

 

[註]   이라  思로   祿  量이 

 

[註解] 원사는 공자의 제자이니 이름이 헌(憲)이다. 공자가 노나라의 사구가 되었을 당시에 원사로써 가신을 삼았다. 속(粟)은 재(宰)의 녹봉이다. 구백은 그 중량을 말하지 않았으니 상고할 수 없다. 

 

*宰는 국가에서는 재상을 뜻하지만, 각 마을을 다스리는 사람을 읍재(邑宰)라고도 하고, 한 관리에게 있어서는 가신(家臣)을 의미하기도 한다.

 

[원문] 毋하 乎인저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양하지 마라. 너의 이웃과 마을 향당(鄕黨)에 주거라.

 

[註]   이요  이요 이라 祿  어든 하여 이라 에는 니라 

 

[註解] 毋는 금지하는 말이다. 다섯 집을 이웃(隣)이라고 하고 25 집을 마을(里)이라고 하고 12,500집을 향(鄕)이라고 하고 오백집을 당(黨)이라고 한다. 일정하게 받는 녹봉은 사양할 것이 없으니 남음이 있거든 스스로 미루어서 가난한 사람을 구휼하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이웃과 마을과 향당에는 서로 구휼해주는 의리가 있는 것이다.

 

[註]  使 使 어늘 하니  하야 이라 하라하니  之호대 少하라하니  하니  故 赤이  리라  祿이어늘  하니   

 

[註解] ○정자가 말씀하셨다. 공자께서 자화를 심부름 보낸 것과 자화가 공자의 사자(使者)가 된 것은 의리인데 염유가 그를 위해 (곡식 줄 것을) 요청하니 공자께서 너그러이 용납하여 남의 말을 곧바로 막고자 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적게 주라고 하셨으니, 마땅히 주지 않아야 함을 보여준 것이다. 더 줄것을 청하자 또 적게 주라고 하시니 더 주어서는 안됨을 보여준 것이다. 염구가 미처 깨닫지 못하고 스스로 많이 주었으니 과한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그릇되었다고 하신 것이다. 공서적이 진실로 궁핍함에 이르렀다면 공자께서 반드시 스스로 구휼하셨을 것이고 요청을 기다리지 않으셨을 것이다. 원사가 가신이 되었으니 일정한 녹봉이 있거늘 원사가 그것이 많다고 사양하였다. 그러므로 또 이웃과 마을의 가난한 사람에게 나누어주라고 가르치셨으니 또한 의가 아닌것이 없다. 장자가 말했다. 이 두가지 일에서 성인의 재물 쓰는 법을 볼 수 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