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哀 이니잇고 學하 怒하 過하더니   케이다

 

[해석] 애공이 물었다. "제자들 중에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습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안회라는 사람이 있어 배우기를 좋아하여 성냄을 옮기지 않으며 과실을 반복하지 않았는데 불행하게도 명이 짧아 죽었습니다. 지금은 없으니 아직 배움을 좋아하는 사람을 듣지 못했습니다."

 

*亡은 논어에서는 대체로 無로 읽는다.

 

[註]      하고        하고   

 

[註解] 遷은 옮긴다는 뜻이다. 貳는 반복한다는 뜻이다. 갑에게 성낸 것을 을에게 옮기지 않고 전날에 있던 과오를 뒷날에 반복하지 않는다. 안자(안회)는 나를 이기는(克己) 공부가 이와 같음에 이르렀으니 가히 진실로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이를만 하다. 단명이라는 것은 안자가 32세에 죽은 것이다. 이미 지금은 없다고 이르고 또 배우기를 좋아하는 자를 아직 듣지 못했다고 말한 것은 아마도 심히 애석하게 여긴 것이고 또 진실로 배움을 좋아하는 사람을 얻기 어려운 것을 드러내신 것이다.

 

*見은 여기서 '현'으로 읽는다.

 

[註]  怒는  이요 이면 하며  하니   이니     하야  리오 位면   이니 이면 便  便이라  使  로대 하니    道는   이니 하고  性이 하니 이라    中이 하니 이라 蕩이   하야 使하고 하야  하야  이라       리라   라하야 間이 矣라

 

[註解] ○ 정자가 말씀하셨다. 안자의 성냄은 남에게 있었고 자신에게는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옮기지 않고 선하지 않은 것이 있으면 일찍이 알지 못함이 없으며 알면 일찍이 다시 행동하지 않았으니 과오를 반복하지 않은 것이다. 또 말씀하셨다. "기쁘고 성냄이 일에 있으면 이치 상 마땅히 기뻐하고 성내는 것이요 혈기에 있지 않으면 옮기지 않았으니 예컨대 순임금이 사흉을 칠때 성낼만한 것이 저들(사흉)에게 있었으니 자신이 거기에 무슨 관여를 하겠는가? 마치 거울이 사물을 비춤에 아름답고 추함이 저기에 달려있어 물건에 따라 응할 뿐이니 어찌 옮김이 있겠는가?"

또 말씀하셨다. 안자와 같은 지위이면 어찌 선하지 않음이 있겠는가? 이른바 선하지 않은 것은 다만 은미한 착오와 실수가 있는 것이니 조금이라도 착오와 실수가 있으면 곧 알았고 조금이라도 알면 곧 다시 싹터 짓게 하지 않았다.

장자가 말했다. 자신에게 부족하게 느낀 것을 재차 싹트지 못하게끔 하였다.

혹자가 말했다. 시서 육예를 70명의 제자가 익혀서 통하지 못한 것은 아니지만 공자께서 유독 안자를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칭하였으니 안자가 좋아하는 것은 과연 어떤 배움인가? 정자가 말씀하셨다. 배움으로써 성인에 이르는 방법이다. (혹자가 물었다) 배우는 방법은 어떻게 됩니까? (정자가) 말씀하셨다. 천지가 정밀함을 쌓음에 오행의 빼어남을 얻은 것이 사람이 되니 그 본체는 참되고 고요하고 그 아직 발하지 않음에 오성이 거기에 갖추어져 있으니 인의예지신이라고 한다. 형체가 이미 생겨남에 외부 사물이 그 형체에 접촉하여 마음에 동하니 그 마음이 동하여 칠정이 생겨나니 기쁨, 성냄, 슬픔, 두려움, 사랑, 증오, 욕심이라 한다. 정이 이미 성하여 더욱 방탕해지면 그 본성이 뚫린다(훼손된다). 그러므로 깨달은 사람은 그 정을 단속하여서 중도(中道)에 합하게 하고 그 마음을 바르게 하여서 그 본성을 기를 뿐이다. 그러나 반드시 먼저 마음을 밝게 하여 가야할 바를 안 뒤에 힘써 행하여 (도에) 이르기를 구하는 것이다. 예컨대 안자의 예가 아니면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지 않는것과 성냄을 옮기고 과실을 반복하지 않은 것 같은 것이니 그 좋아함이 독실하고 배움의 방법을 얻은 것이다. 그러나 성인에 이르지 못한 것은 지킨 것이고 변화한 것이 아니니 몇 년만 수명을 빌리면 며칠이 되지 않아 변화하였을 것이다. 지금 사람들은 마침내 성인은 본래 나면서부터 아는 사람이고 배워서 이를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하여 학문 하는 것을 글을 기록하고 말을 외우는 사이에 있음에 지나지 않으니 그 또한 안자의 배움과는 다르다.

 

*고전에서 物은 '나'를 제외한 모든 외계사물을 지칭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는 상대방을 가리킨다.

*便은 '편할 변', '대소변 변'으로 쓰이는데, 어류체에서는 '곧 변'으로 쓰인다.

*六藝는 禮 樂 射 御 書 數의 여섯 가지를 가리킨다.

*"矣"는 술이편 16장 "年하 이면 리라"의 문장과 유사하기 때문에 化를 易과 연관지어서 변화라고 해석하였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