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使으로   焉하 者한 로리라

 

[해석] 계씨(계강자)가 민자건으로 하여금 가신을 삼으려고 하자 민자건이 말했다. "나를 위해 잘 말해주게. 만약 나를 다시 부르는 일이 있다면 내가 반드시 물가(汶水)에 있을 것이다.

 

*矣는 "제나라로 떠남"과 "은둔"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費는 註에 의하면 계씨가 다스리는 지역을 의미한다. 宰는 일반적으로 재상을 의미하는데 계씨가 천자나 제후가 아니기 때문에 읍을 다스리는 가신으로 해석했다.

 

[註]   이라  이라  이니 이라 하야 使者로 辭하 

 

[註解] 민자건은 공자의 제자이니 이름이 손(損)이다. 費는 계씨의 읍이다. 汶은 물의 이름이니 제나라 남쪽과 노나라 북쪽 경계상에 있다. 민자건이 계씨의 신하노릇을 하고싶지 않아서 사신으로 하여금 "나를 위해 잘 말하라 만약 다시 나를 부른다면 마땅히 제나라로 떠날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註]     이면 리오 하니  하고   하면 커니와  하고 하니 子는   하고  하니  하고  子는 인저

 

[註解] ○정자가 말씀하셨다. 공자의 문하에 능히 대부의 가문에서 벼슬하지 않은 사람은 민자건과 증자 몇 사람 뿐이다. 사씨가 말했다. 배우는 자가 안과 밖의 구분을 조금만 알면 모두 도를 즐기고 권세를 잊을 수 있다. 하물며 민자건은 성인을 얻어 의지하고 돌아올 곳으로 삼았으니 저 계씨의 의롭지 못한 부귀를 개, 돼지쯤으로 여길 뿐만이 아니었고 또 (그를) 따라서 신하노릇을 함이 어찌 그의 마음이었겠는가? 성인에게 있어서는 그렇지 않은 것이 있으니 대개 어지러운 나라에 거하면서 악인을 보는것은 성인에게 있어서는 괜찮지만 성인으로부터 이하로는 강직하면 반드시 화를 취하고 유약하면 반드시 욕을 취하니 민자건이 어찌 일찍 보고서 미리 대비할 수 있었겠는가? 예컨대 중유(자로)는 올바른 죽음을 얻지 못하였고 염구는 계씨를 위해 이익을 보탰으니 어찌 그들의 본심이겠는가? 이미 앞을 보는 지혜가 없고 또 난을 극복할 재능이 없는 연고다. 그렇다면 민자건은 아마도 현자일 것이다.

 

*不啻는 일종의 숙어로 "~일 뿐만아니다"로 해석한다.

*其는 乎와 묶여서 "아마도"의 의미를 가질 때가 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